문화·스포츠 라이프

문체부, 방한 중국인 발맞춘 관광상품 질적 성장 나선다

지난 4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 거리 모습 /연합뉴스지난 4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 거리 모습 /연합뉴스



방한하는 중국 관광객들이 다시 늘어남에 따라 정부가 저질·저가의 단체 상품을 퇴출하는 등 방한 관광상품의 품질을 높이는 정책을 추진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최근 중국이 방한 단체관광금지 조치를 일부 해제함에 따라 방한 중국시장이 조속히 안정을 되찾을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 문체부는 중국에서 방한 관광상품의 홍보와 유통이 장기간 멈췄던 점을 고려해 방한 소비심리를 높이고 유통 채널를 재건한다.

중국 현지 온·오프라인 여행사 및 여행 포털 등과 협력해 신규 방한 콘텐츠를 집중적으로 홍보하고, 중국 주요 거점 지역에서 한국관광 종합설명회와 소비자 행사 등을 연다. 또 중국 여행사의 방한 관광 정보 갱신을 지원하고 중국 개별여행객을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이벤트 개최, 단체 비자 수수료 면제 기한 연장, 우수 중국단체관광 전담여행사 신규 지정 등을 통해 장기간 정체된 방한 관광 수요를 확대한다.


문체부는 유통업체 인센티브를 받고 쇼핑을 유도하는 등 저가·저질 단체상품 난립에도 대응한다. 한중 양국 정부 간의 협약에 따라 중국 단체관광 전담여행사 지정 및 관리 제도를 운용해 중국 단체관광의 고급화를 유도하고 중국 단체관광의 질적 관리를 강화한다. 이를 위해 평가항목에서 여행상품 기획 및 유치능력 관련 항목의 배점을 35점에서 50점으로 높였다.

관련기사



중국 단체관광 전담여행사가 신규 지정을 받을 때 제출한 여행상품 이행 실적을 1년 후 갱신 평가 시에 활용해 우수한 단체관광 상품이 유통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계획이다. 갱신 주기도 기존 2년에서 1년으로 단축하고, 갱신 평가 시 고부가 상품 유치 실적의 배점을 10점에서 30점으로 올렸다. 쇼핑 위주의 저가·저질 상품을 취급하는 여행사는 중국 단체관광 전담여행사로 지정받지 못하게 막는다. 이미 지정된 이후라도 수시로 퇴출할 수 있도록 상시퇴출제를 제도화한다.

아울러 문체부는 중국 정부와 공동으로 관광시장을 관리·감독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지방자치단체와의 합동 점검도 시행하는 등 유관 기관과 협력해 중국 단체관광의 질을 여러 방면에서 관리할 계획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중국 관광객을 유치하는 정책은 방한 중국시장의 고부가화를 통한 질적 성장에 중점을 두고 시행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중국 단체관광의 질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상헌인턴기자 aries@sedaily.com

한상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