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2018년 1분기 실적-유가증권] 뛰는 IT 위에 나는 건설...소비주도 쑥쑥

매출 463조·영업익 42조

양호한 주택경기 영향 힘입어

건설업종 흑자 증가폭 IT 역전

中 관계개선에 소비재 실적회복

1715A20 유가증권실적



유가증권 상장사들이 올해 1·4분기 외형(매출) 성장은 물론 내실(이익)도 잘 다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양호한 주택경기 영향으로 건설업종의 흑자 증가 폭이 전기·전자 업종을 앞질렀고 중국과의 관계 개선 등의 여파로 소비재 업종 상장사의 실적 역시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가 12월 결산 코스피 상장사 544개사(금융업·분할합병 기업 등 81개사 제외)의 연결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올해 1·4분기 매출액은 463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4.82%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42조8,000억원으로 9.96% 불어났고 당기순이익은 32조8,000억원으로 2.63% 늘었다.

실적 증가세는 이어졌지만 순이익을 중심으로 실적 증가율은 둔화됐다. 이에 따라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9.23%로 지난해 동기 대비 0.43%포인트 올랐지만 매출액 순이익률은 7.08%로 0.15%포인트 감소했다.


올해 1·4분기에도 삼성전자를 비롯한 IT·반도체 의존은 여전했다. ‘대장주’ 삼성전자(매출액 비중 13.06%)를 제외하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6.43%, 13.01% 줄었다. 매출액은 2.89% 늘었지만 삼성전자를 포함했을 때(4.82%)와 비교하면 저조한 수치다.

관련기사



분석 대상 544개사 중 413개사(76.1%)는 순이익이 흑자를 기록했지만 130개사(23.9%)는 적자를 냈다. 적자 전환 기업이 56개사로 흑자 전환(39개사)보다 많았다. 상장사들의 1·4분기 말 현재 부채비율은 110.52%로 지난해 말(110.08%) 대비 0.44%포인트 높아졌다.

개별·별도 재무제표 기준으로 보면 분석 대상 651개사의 1·4분기 매출액은 285조원으로 4.87% 늘었고 영업이익(29조9,000억원)과 순이익(26조7,000억원)은 각각 23.77%와 9.30% 증가했다. 특히 흑자(당기순이익) 증가 업종을 보면 건설이 91.49%로 가장 증가 폭이 컸다. 이어 전기·전자(58.90%), 섬유·의복(56.07%), 음식료품(49.68%), 서비스(32.90%), 의약품(30.01%) 순이었다. 반면 기계(-85.06%), 전기·가스(-72.84%), 비금속광물(-71.70%), 운수창고(-54.46%) 등은 흑자 폭이 줄었다. 의료정밀, 전기·전자, 서비스, 유통 등 14개 업종의 매출액은 늘었지만 비금속광물, 운수장비, 기계 등 3개 업종은 감소했다.

금융업종에 속한 48개사의 연결 영업이익은 9조원으로 6.4% 늘었지만 순이익은 6조8,000억원으로 1.2% 감소했다. 세부 업종별 순이익 증가율은 증권업(72.0%)이 가장 높고 금융지주(5.4%), 은행(2.2%), 기타(13.6%) 등 순이었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