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아미트 라하프 게코 예술감독 "결혼은 계약…사회와 이혼할 수 있는지 묻고 싶었죠"

2018 모다페 개막작 '웨딩' 연출

"분노의 뿌리인 계약관계 대신

우정의 연합체 가능성 표현"




춤을 통한 치유와 회복을 의미하는 ‘치어 유어 댄스, 유어 라이프(Cheer, your dance, your life)’를 주제로 국내 최대 현대 무용축제인 국제현대무용제(2018 MODAFE)가 27일까지 이어진다. 축제의 화려한 출발을 알린 작품은 영국을 대표하는 피지컬시어터 단체인 게코(Gecko)의 ‘웨딩’이다. 게코를 이끄는 아미트 라하프(사진) 예술감독은 17일 서울 대학로의 한 카페에서 진행한 인터뷰를 통해 “우리 모두는 사회가 강요하는 계약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신부(bride)”라며 “우리를 속박하는 계약을 파기하고 새로운 공동체를 모색할 수 없는지 관객에게 묻고 싶었다”고 소개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작품의 영감은 주로 어떻게 받나. 안무 과정도 소개해달라.


“작품이 만들어지기까지 아주 느리고 체계적인 단계를 밟는 편이다. 우선 첫 번째는 작품의 씨앗을 찾는 것, 즉 구상이다. 출발은 나의 개인적인 감정과 경험이다. 그다음은 이 감정과 경험을 표현할 메타포를 찾는 거다. ‘웨딩’을 예로 들자면 우리가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계약 관계를 떠올렸고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우리 모두가 사회와 결혼한 신부들이라는 생각에 이르렀다. 이 계약관계를 결혼이라는 메타포로 풀어낸 것이다. 다음 단계는 놀이와 실험이다. 메타포를 가지고 실컷 놀아 보고 이전에 생각지 못했던 것들을 덧붙인다. 물론 이 과정에는 엄청난 실패가 이어진다. 여러분이 보시는 작품은 이 과정을 통해 살아남은 것이다.”



△‘웨딩’을 통해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웨딩’이라는 작품이 나오기까지 태국, 아일랜드 등 여러 나라의 결혼식을 살펴봤다. 어느 나라든 결혼이라는 계약관계는 우리에게 희망을 주기도 하고 좌절감과 분노를 안기기도 한다. 영국을 예로 들면 우리는 많은 부분에서 갑을관계에 놓여있다. 그들이 정해놓은 계약서에 사인하면 더 이상 반박할 수 없는 거다. 우리가 느끼는 분노와 좌절의 뿌리에 바로 계약관계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 아티스트인 나는 어떤 책임 있는 이야기를 할 것인가, 반응할 것인가를 오랜 기간 고민했다. 그리고 우리가 사회와 이혼할 수 있는지, 계약관계가 아닌 우정과 이상의 연합체로서 다시 공동체를 이룰 수 있을지 모색해보기로 했다. 이 작품을 통해 디스토피아를 이야기하려 한 게 아니다. 인간 존재의 즐거움, 관계와 연결이 주는 행복감을 이야기하고 싶다. 사회계약 이전에 우리는 충분히 연결돼 있었고 행복했다. 그때를 다시 상상해보자는 것이다. 막이 내리고 관객들이 객석을 떠날 때 희망과 온기를 느끼면 좋겠다.”

2018 모다페 개막작인 ‘웨딩’의 한 장면. /사진제공=게코(Gecko)2018 모다페 개막작인 ‘웨딩’의 한 장면. /사진제공=게코(Gecko)


2018 모다페 개막작인 ‘웨딩’의 한 장면. /사진제공=게코(Gecko)2018 모다페 개막작인 ‘웨딩’의 한 장면. /사진제공=게코(Gecko)


△Gecko는 다양한 국적의 예술가들이 참여하는 단체다. 다양성을 중시하는 이유가 있나.


“우리 단체에는 20여개국 이상의 아티스트들이 있고 ‘웨딩’ 무대에는 15가지 전혀 다른 언어가 펼쳐진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우리가 이 언어를 하나하나 이해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관객들은 무용수의 감정과 몸짓만으로도 그들이 하나의 언어를 이야기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그게 바로 인간의 힘, 표현의 힘이다. 국적이 다른 무용수들을 통해 작품의 재료가 풍부해질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 우린 결국 같은 종의 동물이라는 걸 확인하는 거다.”

관련기사



2018 모다페 개막작인 ‘웨딩’의 한 장면. /사진제공=게코(Gecko)2018 모다페 개막작인 ‘웨딩’의 한 장면. /사진제공=게코(Gecko)


△Gecko의 작품은 무용보다는 연극에 더 가까워 보인다.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거리의 아이들과 함께 연극을 만드는 작업을 4년여간 했다. 당시 경험은 나의 토대를 이룬다. 우리는 말이 통하지 않지만 각자의 휴머니티로 맞닿았고 교류하고 교감했다. 그들의 몸짓과 표정만으로도 나는 아이들의 감정을 이해할 수 있었고 그들이 얼마든지 메타포를 표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작업하기 전에 내 감정, 타인의 감정, 사회의 감정을 이해하면 그 다음 언어를 찾는 일은 얼마든지 할 수 있다. 나는 무용, 연극 등의 장르를 구분 짓지 않는다. 장르는 우리의 감정을 표현하는 여러 가지 방법일 뿐이다. 내 감정을 온 몸으로 표현할 수 있다면 춤을 추는 거고 그걸 말로 표현하고 싶다면 연극이 되는 것이다. 나의 작업은 이 모든 것을 정돈하고 배치하는 것이다.”

2018 모다페 개막작인 ‘웨딩’의 한 장면. /사진제공=게코(Gecko)2018 모다페 개막작인 ‘웨딩’의 한 장면. /사진제공=게코(Gecko)


△이번이 세 번째 한국 방문인데 한국 단체나 무용수들과의 협업 계획은 없나.

“의정부음악극축제로 10년 전 내한 해 ‘오버코트(Overcoat)’를 무대에 올렸고 2015년에도 ‘미씽(Missing)’ 공연으로 방한했다. 세 번째 방문인 만큼 한국의 극장이나 문화예술단체, 지원기관과 협업 기회를 구체적으로 만들고 돌아가면 좋겠다.”
, 사진=권욱기자

서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