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개성공단 비대위 “또 다시 일방적 중단 안돼…재발 방지 대책 마련해야”

남북정상회담으로 개성공단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가운데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일반적인 가동 중단 사태를 막기 위한 재발 방지책을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는 18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가진 ‘개성공단 재개 준비를 위한 워크숍’에서 이 같은 의견을 취합했다고 밝혔다.


이날 워크숍에 참가한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재발방지 대책 △시설 점검을 위한 방북 승인 △노무관리 제도 개선 △경영정상화를 위한 정부 지원 대책 등의 의견을 제시했다. 유창근 개성공단 정상화 태스크포스(TF) 단장은 “대다수 기업이 (가동 중단) 재발 방지 대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며 “재개가 된다고 하더라도 바이어들이 발주를 주지 않으면 재개가 불가능한 상태인 만큼 바이어들에게 공신력 있는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중요한 사항”이라고 말했다. 정부 지원 대책에 대해서 그는 “개성공단 입주 기업 대부분의 신용등급이 하락해 정상적인 금융 지원을 받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중단 전인) 2016년 2월 이전 상태로 돌려달라는 것”이라며 “자금이 거의 고갈된 상태이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금융 애로를 호소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TF는 북미정상회담 이후 정부에 방북 신청을 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이날 워크숍에는 약 110개의 개성공단 입주기업과 20여개의 영업기업 대표, 5개의 관계기업 관계자들이 참가했다. TF는 오는 24일 각 업종을 대표하는 분과장들과 함께 다시 한번 구체적인 의견수렴에 나설 예정이다. 신한용 개성공단기업 비대위원장은 “우리의 바람은 2016년 2월 이전으로 돌려달라는 것으로, 반드시 2년 3개월전의 경영환경으로 복귀해 우리 문재인 정부의 정책과제중 핵심인 한반도 신경제지도의 역군으로서 역할을 다 할 것”이라며 “(방북 신청이) 여건조성이 미비했단 이유로 유보상태에 있지만 북미정상회담 이전이나 이후에 양 당국을 허용함으로써 우리 기업인들이 개성공단에 들어가서 향후 정상화까지 위한 준비를 어떻게 해야할 지에 대한 기초작업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