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부실한 보건당국 마약류 관리, 강남구 M피부과 패혈증 사고에 빌미"

정춘숙 의원 "통합관리 조속 가동을"

프로포폴 사용량 區 피부과의 10배

2016년 제재 받았는데도 감독 소홀




프로포폴 등 마약류·향정신성의약품을 부실하게 관리하는 의료기관에 대한 보건당국의 감독부실과 솜방망이 제재가 서울 강남구 M피부과의 집단 패혈증 사고에 빌미를 제공한 것으로 드러났다.

18일 정춘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집단 패혈증 사고를 일으킨 서울 강남구 M피부과는 2016년에도 프로포폴 남용과 관리부실로 보건당국의 제재를 받았다.

2016년 10월 국민신문고에 프로포폴 남용과 관리부실에 대한 신고가 접수됐고 프로포폴 남용과 부실한 관리로 보건당국의 제재를 받았다.


M피부과는 2016년 10월 국민신문고에 ‘프로포폴을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는 곳에 보관 중이며 환자들이 요구할 경우 투여량을 늘리는 등 치료 목적 외에 무분별하게 남용하고 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이에따라 강남구보건소가 현장점검에 나섰고 잠금장치가 없는 일반 냉장고에 프로포폴 보관, 마약류 저장시설 점검부 미비 등이 적발됐다. 하지만 제재는 경고 및 과태료 300만원 처분에 그쳤다.

관련기사



M피부과는 또 지난해 서울 강남구 68개 피부과가 구입한 프로포폴의 23%를 사들였지만 보건당국의 관리는 부실했다

M피부과가 M제약으로부터 ‘프로바이브주 1% 20㎖’ 등 프로포폴 제품을 2016년 2,490개(5만㎖), 지난해 5,800개(11.6만㎖) 공급받았다. 이는 68개 강남구 피부과 의원 평균 1만1,584ml의 10배, 전국 피부과 평균 8,011㎖의 14.4배나 된다. 하지만 보건당국은 적절한 관리를 하지 않았다.

정 의원은 “마약류·향정신성의약품 관련 사건이 터져야만 보건당국에서 뒤늦게 수사하고 문제점이 드러나는 등 관리체계가 너무 부실하다”며 “마약류 제조부터 유통, 처방·조제, 사용에 이르는 통합관리 시스템을 조속히 가동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