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바이오젠 콜옵션 행사 확정...삼바, 2차 감리위 주도권 잡나

금감원 "분식회계 결론에 영향 없을 듯"...삼바도 "콜옵션 행사 여부, 회계기준 변경과 관계 없어"

'트리거' 아니지만...논란 잠재워 삼성 주장 힘 받을듯




미국 바이오젠이 삼성바이오에피스에 대한 콜옵션 행사를 확정하면서 분식회계 논란이 분수령을 맞고 있다. 지난 17일 열린 첫 감리위원회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가 바이오젠의 콜옵션 행사를 확정했다는 의사를 전달하지 않은 만큼 다음주 열리는 감리위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이를 통해 주도권을 쥘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당국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모두 바이오젠의 콜옵션 행사 여부가 분식회계를 결정짓는 ‘트리거’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핵심쟁점인 콜옵션 행사 가능성에 대한 논란은 사그라질 것으로 보인다.

18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전날 열린 첫 감리위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젠의 콜옵션 행사 확정에 대한 입장을 전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감리위가 열린 오후에야 바이오젠이 콜옵션을 행사하겠다는 의사가 담긴 서신을 받은 만큼 관련 내용을 감리위원들에게 알리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에피스에 대한 바이오젠의 콜옵션 행사가 유력했지만 확정된 사안이 없어 첫 회의에서는 이를 못 밝혔지만 다음 회의에서는 콜옵션 행사 가능성 논란에 대한 입장을 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오젠의 콜옵션 행사 가능성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를 판단할 중요한 쟁점으로 지적돼왔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에피스의 평가 방식을 시장가로 전환한 것은 바이오젠의 콜옵션 행사 가능성 때문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회계처리 기준을 변경할 당시 바이오젠의 콜옵션 행사가 유력했던 만큼 에피스의 가치를 시장가로 평가한 것이 국제회계기준을 따른 적법한 절차라고 주장해왔다. 금융당국이 이런 부분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분식회계로 지적했다는 입장이다. 반면 금융감독원은 바이오젠의 콜옵션 행사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해왔다. 바이오젠이 레터를 보낸 시점에는 에피스 제품의 판매 승인이 없었고 콜옵션 행사 레터를 근거로 평가 방식을 전환한 것도 적절하지 않다는 판단이다.

관련기사



금감원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모두 바이오젠의 콜옵션 행사 확정이 감리위 결정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다.

금융당국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해 공식적인 대응을 자제하고 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다음번 감리위에서는 구체적으로 개별 쟁점에 대한 토론이 있을 것”이라면서 “지금 단계에서 관심을 가질 때가 아니며 말씀드릴 형편이 아니다”라며 말을 아꼈다. 윤석헌 금감원장도 바이오젠이 에피스에 대한 콜옵션 행사 의사를 표명한 데 대해 “제가 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감리위가 평가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금감원 내부적으로는 회계기준을 변경한 시점은 2015년이기 때문에 바이오젠의 콜옵션 행사 여부가 분식회계 판단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콜옵션 확정이 분식회계 결론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결정적 변수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지만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일관된 주장에는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분식회계 여부에 대한 판단은 감리위원이 하는 만큼 콜옵션 행사에 따른 상황 변화를 예측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특히 오는 25일 열리는 2차 감리위에서 금감원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대심제로 공방을 벌이게 되면서 이 부분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만약 감리위원들이 핵심쟁점인 콜옵션 행사 가능성에 대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입장을 받아들인다면 감리위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원하는 방향으로 끌고 갈 가능성도 있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