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이번엔 탈북자 송환...北 전방위 대남압박

文, 내일 회담 앞두고 트럼프와 통화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오전 청와대 관저 소회의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오전 청와대 관저 소회의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연합뉴스



북한이 한미연합공중훈련과 태영호 전 영국주재 북한 공사의 대외활동, 대북 단체들의 전단 살포에 이어 탈북 여종업원 송환까지 문제 제기했다. 지난 16일 ‘북미 정상회담 재고려’라는 강수를 두며 대미 압박의 포문을 연 데 이어 대남 압박을 전방위로 확대하는 분위기다.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대미는 물론 대남 주도권까지 잡기 위한 사전 전략으로 분석되지만 최악의 경우 한반도 정세가 급랭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미 정상은 20일 긴급 핫라인까지 가동했다. 22일 워싱턴에서 한미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통화 시점이 다소 이례적이다. 북핵 해법에 대한 한미 양 정상의 고심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북한은 19일 적십자회 명의로 탈북 여종업원을 북으로 송환해 남북관계 개선 의지를 보이라고 촉구했다. 북한이 지목한 탈북자들은 2016년 중국 류경식당에서 일하다 단체로 남측으로 온 여성들이다. 하지만 4·13 총선을 앞두고 전 정부가 기획한 탈북이라는 의혹을 받고 있다. 북한 적십자회 중앙위원회 대변인은 조선중앙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남조선 당국은 박근혜 정권이 감행한 전대미문의 반인륜적 만행을 인정하고 사건 관련자들을 엄하게 처벌해야 한다”며 “판문점 선언의 잉크도 채 마르기 전에 남조선 당국이 취하고 있는 태도는 유감을 넘어 실망을 금할 수 없게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심지어 북한 적십자회는 “집단유인 납치사건을 어떻게 처리하는가 하는 것이 판문점 선언에 반영된 북남 사이의 인도주의적 문제 해결 전망을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며 이산가족 상봉 등 향후 남북 실무협상의 주요 사안에 영향을 미칠 것임을 시사했다.

관련기사



북한이 대남 압박 수위를 높이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일 오전 직통전화를 통해 현 정세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진행되고 있는 북한의 여러 반응들에 대해 질문과 답변이 있었다”며 “미국은 토요일 밤인데도 (전화 통화를 한 것은) 북미회담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한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정영현·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