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아껴써도 적자 못벗어나는 저소득층…100만원도 못버는데 110만원써




우리나라 가계의 소득격차가 사상 최대로 벌어진 가운데, 소비 양극화도 뚜렷해졌다. 특히 월평균 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최하위 가계는 110만원을 쓴 것으로 나타나 적자를 면치 못했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7 가계동향조사(지출부문)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1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 규모는 255만6,800원이었다.


가계별 소득(2016년 경상소득 기준)에 따라 소비지출 규모는 극과 극이었다. 소득 하위 20%(1분위)는 지난해 월평균 114만6,000원을 소비한 반면, 소득 상위20%(5분위)는 월평균 433만1,900원을 소비해 4배 가까이 차이가 났다.

관련기사



1분위는 식료품·비주류음료에 월평균 23만2,600원을 지출해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어 수도·광열에 21만7,600원, 보건에 12만3,500원, 음식·숙박에 12만3,000원을 썼다. 반면에 5분위는 교통에 71만7,800원, 음식·숙박에 60만9,100원, 식료품·비주류음료에 50만1,600원을 각각 지출했다. 교통비 중 절반가량은 자동차 구입비로 썼다.

소득구간별로 보면 월소득 100만원 미만 최하위 가계는 월 110만6,600원을 지출해 소득에 비해 쓴 돈이 많아 적자살림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가구는 전체의 18.2%가량을 차지했다.

소득 100만원 미만 가계는 식료품(20.9%), 주거·수도·광열(19.3%), 보건(10.7%) 순으로 지출비중이 높았다. 반면, 소득 600만원 이상 가구의 지출비중은 교통(16.7%), 음식·숙박(13.9%), 식료품(11.5%) 순이었다. 이들 가구는 전체의 18.3%를 차지했다. 600만원 이상 가구가 쓴 교통비 중 51.6%는 자동차 구입비였다.


세종=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