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中 라텍스 침대서도 고농도 라돈 검출…수입산 관리 허술

‘음이온 발생’ 토르말린 침대서는 기준치 초과 방사능

30일 오전 서울 중구 환경재단에서 환경보건시민센터 주최로 열린 기자회견에서 중국산 라텍스 매트리스를 라돈 측정기로 계측하고 있는 모습./연합뉴스30일 오전 서울 중구 환경재단에서 환경보건시민센터 주최로 열린 기자회견에서 중국산 라텍스 매트리스를 라돈 측정기로 계측하고 있는 모습./연합뉴스



최근 문제가 된 대진침대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들여온 라텍스 침대에서도 고농도 라돈이 검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30일 서울 중구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라돈 침대 관련 3차 기자회견을 열고 시중에 판매되는 중국산 게르마늄 라텍스 침대의 라돈 검출 결과를 공개했다.

센터와 탈핵단체 ‘태양의학교’가 지난 26일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거주자의 제보를 받고 측정기 ‘라돈아이’로 침대 매트리스를 측정한 결과, 안전기준(148베크렐)의 7.2배에 달하는 라돈 1,075베크렐이 나왔다. 센터 관계자는 “이 침대는 한국의 한 중소업체가 중국 현지 공장에서 생산한 침대”라며 “수입산 제품에 대한 정부 관리에 구멍이 뚫려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또 의료기기 업체 A사에서 만든 토르말린 침대에서는 기준치를 웃도는 방사능이 나왔다. 토르말린은 전기석(電氣石)으로도 불리며, 음이온을 발생시켜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센터와 ‘태양의학교’가 한 제품 사용자의 토르말린 침대 방사능을 측정기 ‘인스펙터’로 측정한 결과, 이 침대에서는 시간당 0.868마이크로시버트가 측정됐다. 자연상태의 연간 피폭 한계치인 1밀리시버트의 7.5배로, 제품 허가 기준치의 2.5배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센터 관계자는 “같은 재질의 방석에서도 비슷한 수준의 방사능이 측정됐다”며 “이 밖에도 팔찌나 주걱, 소쿠리, 소금, 치약 등 방사성 물질이 나오는 다양한 제품들이 우리 생활 속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침대 사용자는 국가기관인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의료기로 허가해준 제품이라 안심하고 샀다고 하더라”며 “이 또한 정부 관리가 허술하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 의료기기 회사는 센터 측을 상대로 기자회견 금지 가처분 신청을 냈다. 센터 관계자는 “업체 대표가 자체적으로 전수조사를 하고, 실제로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면 직접 사과하기로 약속했다”며 “만일 사과가 없다면 업체명을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박신영인턴기자 wtigre@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