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우량주 탈출 없었으면 코스닥 1,000 찍었다"

자본시장연구원 보고서

"셀트리온 등 이전상장 안했으면

지수 지금보다 33% 높았을 것"

셀트리온(068270)·카카오(035720)·NAVER(035420) 등의 우량주가 코스닥 시장에서 코스피로 옮겨가지 않았다면 코스닥 지수가 현재 1,000포인트를 넘어섰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30일 자본시장연구원이 발표한 ‘코스닥 상장기업 이전상장: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코스닥 우량주의 이전상장이 없었을 경우 코스닥 지수가 올해 4월 말 현재 1,161에 달했을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4월 말 코스닥 지수가 876인 것과 비교하면 33%(285포인트)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이다.

김준석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난 1996년 코스닥시장 출범 이후 코스피로 이전한 93개 상장사 가운데 2년 이상 코스닥 시장에 머물렀던 48개사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 기업이 코스닥시장에서 현 수준의 주가 상승률을 기록했을 것으로 가정한 결과다.


김 위원은 “이전상장 기업이 코스닥시장에 머물렀을 때 동일한 주가 상승세를 보였을 것으로 단정할 수는 없다”면서도 “코스닥 지수의 부진은 대형 우량주의 이전상장이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추정할 수는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전상장한 기업들은 코스닥 지수나 코스피 평균 상승률보다 주가 상승률이 높았다. 이전상장 전후 2년간(총 4년) 분석 대상 기업의 주가는 같은 기간 코스닥 지수보다는 평균 111%, 코스피보다는 52% 초과했다. 시가총액 기준으로는 코스닥 시장 상위 20% 이내였고 분석 대상 중 21개는 코스피200에 편입되는 등 업종 대표성을 지닌 기업이 다수였다.

김 위원은 ‘코스닥 시장 상장기업에 대한 주목성과 평판의 영향’ 때문에 코스피로 옮겨갔다고 분석했다.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시장의 규제 수준이나 거래 방식에는 큰 차이가 없지만 코스닥 시장이 상대적으로 개인투자자 중심의 투기적 시장이라는 부정적 평판이 이전상장을 결심하게 된 요인이 됐다는 설명이다. 반대로 이들 기업의 이전상장은 코스닥 지수 침체를 불러오고 다시 지수 침체가 시장의 평판을 훼손하는 악순환을 초래했다고도 지적됐다.

김 위원은 “최근 코스닥 시장의 상장 요건이 꾸준히 완화됐는데 이는 신생·벤처기업의 자금조달을 지원하고 부분적으로 코스닥 시장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동시에 우량 상장기업의 이전상장 유인을 강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면 안 된다”고 덧붙였다.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