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머니+손이천의 경매이야기]격동의 역사 속 꽃핀 걸작들 재평가 박영선 '실내' 수십번 경합끝 낙찰

뛰어난 색감·구도로 우아함·세련미 두드러지며 희소성 갖춰

향토색 짙은 정경 그린 박상옥 '서울풍경' 2,100만원에 팔려

손응성·최영림·심형구·류경채 등 작품도 컬렉터들 큰 관심

박영선 ‘실내’. 추정가 1,200만~3,000만원에 경매에 나와 수십 차례 경합 끝에 6,000만원에 낙찰됐다. /사진제공=케이옥션박영선 ‘실내’. 추정가 1,200만~3,000만원에 경매에 나와 수십 차례 경합 끝에 6,000만원에 낙찰됐다. /사진제공=케이옥션



다소 낯설기는 하지만 최근 한국의 ‘근대미술’에 대한 관심이 높다.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는 개관 20주년을 기념해 ‘내가 사랑한 미술관: 근대의 걸작전(展)’이 열리고 있고 지난달 23일 치러진 케이옥션 경매에도 한국의 근대 작가 박상옥, 손응성, 임직순, 박영선, 최영림, 심형구, 류경채의 작품을 모은 특별섹션 ‘개화”(開花)’- 한국 근대미술의 꽃을 피우다‘가 마련됐다. 근대미술의 시기 구분에 대해 학자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한국근대미술연구’의 서문 격인 글에서 이경성 전 국립현대미술관장은 “한국의 전통미술과 근대미술을 외형적으로 구분 짓는 가장 뚜렷한 기준은 정신적으로나 기술적으로 서구화, 즉 작품제작의 논리화를 들 수 있다”며 한국 근대미술의 연대를 개화기를 기점으로 근대 1기(개화기~1910), 근대 2기(1910~1945), 현대 1기(1945~1960년대)로 나눴다.

근대화가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고희동은 1909년 관비 유학생으로 일본에 갔고, 1910년 한국인 최초로 일본의 도쿄미술학교에 입학하여 한국 최초의 서양화가가 되었다. 유학 후인 1918년에는 서화협회를 결성하기도 했으나 1920년대 중반부터는 동양화가로 활동했다.

일제 강점기 초기 활동한 김관호는 한국의 1세대 서양화가로 1911년 도쿄미술학교에 입학, 1916년 3월에 수석으로 졸업하여 식민지하 조국에 큰 기쁨을 안겨주었던 인물이다. 그가 졸업작품으로 그린 ‘해질녘’은 일본의 문부성미술전람회에서 특선을 수상하며 화제가 됐다. 특히 ‘해질녘’은 한국 최초의 누드화였는데 누드화라는 이유로 당시 한국의 신문에는 실리지 못했던 일화가 있다. 이들을 시작으로 1920년대부터는 이종우, 이종찬, 임용련, 백남순, 나혜석 등이 미국이나 파리로 유학을 떠나 일본에 편중되었던 서양 미술의 습득에 변화를 가져왔다.


1930년대에 접어들어 서양화가가 급격히 늘어났고 조선미전을 중심으로 한 관전파와 개인 또는 그룹활동 위주의 재야파로 나뉘었다. 이인성, 심형구, 이마동, 김용준이 활동했고 구본웅, 이쾌대, 이중섭, 문학수도 가세했다. 오지호를 비롯한 유영국이나 현재 국내 미술품 최고가 기록을 가진 김환기도 근대를 이끈 작가들이다. 이 시기 야수파, 표현주의, 인상주의, 후기 인상주의 등이 시대를 풍미했고, 그 한편에는 민족주의와 사회의식이 있었다.

관련기사



이렇게 시대의 아픔을 가지고 우리나라의 근대화단을 풍미했던 작가들의 작품은 시장에서 어느 정도 가치를 인정받고 있을까.

케이옥션의 지난 5월 경매에서 가장 치열한 경합 끝에 낙찰된 작품이 바로 근대의 대표화가 박영선의 ‘실내’였다. 캔버스에 유화물감으로 그려진 세로 112.1cm, 가로 145.5cm의 이 작품은 추정가 1,200만~3,000만원에 출품돼 경매에 올랐다. 경합이 무려 수십 번 이상 계속됐다. 마침내 6,000만원에 낙찰됐고 박수와 환호가 터져 나왔다. 작가가 30대 후반에 작업한 구작으로 특유의 화풍과 기법이 잘 담겨있고, 알찬 화면 구성과 뛰어난 색감이 두드러지는 대작으로 희소성이 있어 많은 경합을 기록했다.

1910년에 태어나 1994년에 작고한 박영선은 1936년 일본의 가와바타 미술학교를 졸업했고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수차례 수상했다. 누드화를 포함해 여성을 소재로 한 인물화를 즐겨 그렸고 색채와 구도를 강조하는 화풍은 서양화의 우아함과 세련미 그리고 현대적인 느낌이 풍부하다. 1955년부터 프랑스에서 4년간 유학한 후 추상적인 화풍으로 변모하게 된다.

이번 경매에서는 박상옥의 작품 ‘서울 풍경’도 800만원에 경매에 올라 2,100만원에 낙찰되는 기록을 세웠다. 박상옥은 1954년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최고상인 대통령상을 수상했고 이후 추천작가와 심사위원, 서울교육대에서 교수로 재직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했다. 사실적 자연주의 작가로 서울근교의 풍경과 한강변을 비롯해 사라져가는 시대의 풍물이나 향토적인 색채가 강한 정경을 즐겨 그렸다. 이 밖에도 경매에 출품된 손응성, 최영림, 심형구, 류경채 등의 작품도 경합 끝에 판매가 되어 한국의 근대미술에 대한 재평가 작업이 시장에서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격동기 한국 근대사를 끌어안은 근대미술, 그리고 이제는 시대의 걸작으로 남은 작품들의 진면목이 시장에서도 인정받기를 기대해 본다.
/케이옥션 수석경매사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