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제주 4·3 수악주둔소' 등 문화재 등록…'안창호 일기' 등록 예고

문화재청이 8일 ‘제주 4·3 수악주둔소’ 및 ‘운강선생유고 및 부록’을 문화재로 등록하고 ‘도산 안창호 일기’를 포함한 총 3건은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고 밝혔다.

등록문화재 제716호 ‘제주 4·3 수악주둔소’는 해방 이후 정부 수립과 한국전쟁 당시 정치적, 사회적 혼란기 속에서 한국 현대사의 주요 사건이었던 제주 4·3사건의 역사성과 지역성을 간직한 유적이다. 무장대 토벌을 위해 당시 만들어졌던 많은 주둔소 중에서도 규모가 크고, 건축적인 면에서 형식·구조도 독특하며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제주 4·3사건의 흔적이 대부분 사라지고 현존 유적도 극소수인 상태에서 제주 4·3사건을 재조명하고 그것으로부터 교훈을 얻기 위한 역사적 현장으로서 상징적 의미가 있다.


등록문화재 제717호 ‘운강선생유고 및 부록’은 구한말 대표적인 항일 의병장인 운강 이강년(1858~1908)이 1908년 서대문형무소에서 순국한 후 제천지역 의병들이 그가 남긴 글과 의병활동 내용을 기록한 필사본 3책이다. 운강 이강년이 지은 시문과 글을 필사한 유고 1권과 그의 의병활동 등을 적은 부록 3권의 총 3책이다. 운강 이강년은 명성황후 시해 사건이 일어난 다음 해인 1896년, 고향인 경상북도 문경에서 의병을 일으켜 충청북도 제천 등지에서 활동했다.

관련기사



이번에 등록 예고된 문화재는 항일독립 문화유산인 ‘도산 안창호 일기’ ‘관동창의록’과 한국전쟁 이후 건립된 관공서 건물인 ‘파주 구 교하면사무소’ 등 총 3건이다. ‘도산 안창호 일기’는 도산 안창호(1878∼1938)가 1919년 3·1운동 이후 중국 상하이로 건너가 상해임시정부 내무총장 겸 국무총리 대리 등으로 역임하던 시기의 활동을 기록한 일기다. 1920년 1월 14일부터 8월 20일까지, 1921년 2월 3일부터 3월 2일까지 약 8개월의 기록으로, 3책으로 되어있다. 이 일기는 임시정부에서 활동한 인물이 기록한 당시의 일기 중에서 공개된 것으로는 유일하다. 안창호가 직접 쓰지는 않은 것으로 보이나 임시정부 초창기의 활동과 조직운영, 참여인사들의 면모 등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고 있다.

함께 등록 예고된 문화재로는 ‘관동창의록’(關東倡義錄)과 ‘파주 구 교하면사무소’가 있다. 독립기념관에 있는 관동창의록은 강원도 강릉을 중심으로 함경도와 경상도에서도 활동한 의병장 민용호(1869∼1922)가 경기도 여주에서 의병을 일으킨 뒤 중국으로 망명할 때까지 펼친 항전 사실을 기록한 일기와 서한으로 구성됐다. 상권에는 1895년 8월부터 1896년 2월까지, 하권에는 1896년 3월부터 11월까지 활동 내용을 기록했다. 파주 구 교하면사무소는 1957년 건립된 관공서. 외벽을 석재로 마감하고 정면 현관 상부를 봉황과 무궁화 문양으로 장식한 점이 특징이다.

등록을 예고한 ‘도산 안창호 일기’ 등 3건은 30일간의 등록 예고 기간 중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등록할 예정이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