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북미회담서 종전합의?…靑 "달라질 가능성 있어"

비핵화 논의 중 국면 전환 될지도

文대통령 싱가포르行 가능성 낮은듯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7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만나고 있다./출처=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7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만나고 있다./출처=연합뉴스



청와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에서 한반도 종전합의에 서명할 수 있다는 뜻을 밝힌 데 대해 “비핵화 관련 협의가 진행되면서 달라질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다”라는 입장을 8일 발표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많은 구상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이 잘되지 않으면 회담장 밖으로 걸어나가겠다는 표현도 하지 않았나”라며 “그런 상황에 대한 정부 입장이 뭔지 물을 수 있으나 모든 상황에 대해 답변하기는 곤란하다”고 밝혔다.


청와대의 이러한 입장 표명은 트럼프 대통령 발언 의중에 대한 해석이 분분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희박해지긴 했지만 북미정상회담 직후 남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있는 등 변수가 여전한 상황에서 관련 논의를 예의주시하겠다는 뜻이다.

관련기사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각)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미·일 정상회담 후 백악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북미정상회담에서) 한국전쟁 종전 합의에 서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이 종전합의 아닌가’라는 취재진의 질문에 김 대변인은 “선언인지, 협정인지 정확히 어떤 의미로 쓰였는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한국전 종전선언을 북미 양국이 할 수 있는가’, ‘북미가 먼저 종전선언을 하고 남북미가 다시 할 가능성이 있는가’라는 물음에 김 대변인은 “조심스러운 국면이어서 공식적인 입장을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종전선언에서 우리 정부가 주체가 안 될 수도 있다는 점에 대한 공식 입장이 없는가’ 등의 질문에도 “현실화하지 않은 문제에 답변을 드리기 어렵다”며 본격적인 입장 표명을 하지 않았다.

북미정상회담 직후 남북미 정상회담이 열려 문재인 대통령이 싱가포르에 갈 가능성을 두고서는 “어제 상황과 변동이 없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판문점에서의 북미 실무협의가 끝났다는 일부 보도와 관련해 “안보실에서는 그 문제에 대해 일정 정도 공유하고 있다”고 말해 북미와 소통하고 있음을 알렸다.
/신경희인턴기자 crencia96@sedaily.com

신경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