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이산가족 전원 대상 수요조사 진행...‘전면적 생사확인’ 대비한 조치

지난달 30일 오후 경기 수원의 대한적십자사 경기도지사에서 이산가족이 상담을 받는 모습./연합뉴스지난달 30일 오후 경기 수원의 대한적십자사 경기도지사에서 이산가족이 상담을 받는 모습./연합뉴스



이산가족 전원을 대상으로 한 수요조사가 진행된다. 북측과 전면적 생사확인에 합의할 때를 대비한 조치다.

10일 통일부 당국자는 “이산가족 전면적 생사확인에 대비한 전수 수요 조사를 내일부터 8월 10일까지 두 달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산가족 전수 수요 조사는 이산가족에게 ‘남북 이산가족 전면적 생사확인’과 ‘고향 방문 및 영상편지 제작’에 참여할지를 묻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우편과 전화, 등기, 방문 등의 방식으로 조사할 예정이다.

이 당국자는 “남북에 흩어진 이산가족이 서로의 생사를 확인하는 것은 이산가족 교류의 토대”라며 “생사가 확인되면 대면 상봉은 물론 화상 상봉과 고향 방문, 우편물 교환과 같은 여러 형태의 교류도 더욱 수월하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면적 생사확인이 성사될지는 미지수다. 북측의 태도가 아직 소극적인 탓이다.

관련기사



지난 2015년에도 통일부가 이산가족을 대상으로 전면적 생사확인을 위한 전수 수요 조사를 진행했지만, 북측이 호응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지금껏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할 때마다 소수의 이산가족을 대상으로 생사확인을 해왔다. 100명의 이산가족을 대상으로 행사를 할 경우 250명 정도의 예비 명단을 추려 북측에 생사확인을 의뢰하는 방식이었다.

통일부가 지난 2016년 진행한 ‘이산가족 실태조사’에 따르면, 남한의 이산가족 중 74.7%는 북한 내 가족의 생사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말 이산가족 등록자는 총 13만 2,124명이다. 이 중 7만 5,234명이 사망했고, 5만 6,890명은 살아있다.


정순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