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중소·중견기업들, 대북사업 진출 검토 잇따라

"개성공단 입주 문의 기업 하루 20여 곳"

중소·중견 기업들이 12일 북미정상회담후 남북 경제협력 분위기가 본격적으로 조성될 것으로 보고 북한의 산림 조성이나 광산, 모래 등 각종 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검토 작업에 잇따라 착수하고 있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유한킴벌리는 북한과 교류가 재개되면 한반도 생태계 복원을 위한 북한 산림 재건 사업에 나서기로 했다. 앞서 유한킴벌리는 1990년대 말부터 고성 등 북한 지역에서 양묘 지원 사업을 해오다 남북관계 경색으로 인해 2009년 이후 중단했다.


이에 따라 이번에 남북 교류가 활성화되면 비무장 지대뿐 아니라 북한 산림 황폐지 복구를 위한 나무 심기 등에 본격적으로 나선다는 방침이다. 유한킴벌리 관계자는 “나무는 육성 기간이 필요하므로 일단 민통선이나 비무장 지대에 나무를 심고 남북 협력이 가능해지면 북한의 숲 복원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유한킴벌리의 이런 계획은 35년간 지속해온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캠페인을 통한 사회공헌 활동 목적뿐만 아니라 남북 경제 협력이 활성화되면 휴지 등 북한의 생활용품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회사 관계자는 “남북 경협이 열리면 국내 대다수 기업이 북 진출을 희망할 것”이라며 “한반도 생태계 조성 사업을 발판으로 북한으로 시장을 넓히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풍부한 자원개발 등 사업에 눈독을 들이는 기업들도 있다. 중견 SM그룹도 북한 광산과 모래 등 자원 개발사업 추진을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할 계획이다.


SM그룹 소속 계열사로 국내 유일의 철광석 광산을 보유한 한덕철광은 북한 철광석 광산개발에 관심이 높다. 채광기술과 설비 노하우, 고품질 철광석 생산기술 등을 앞세워 북한 광물자원 개발사업에 뛰어드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 북한의 철광석 매장량은 50억t(213조원)으로 추정되지만, 연간 생산은 200만t으로 저조한 실정이다.

관련기사



경남기업과 동아건설산업 등 토목 플랜트 기술 보유 건설사들도 북한 건설시장 선점을 목표로 대북사업을 기획하고 있다. 특히 동아건설산업은 정부의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에 따른 남북 경제협력 추진에 남다른 관심이 있다. 1997년 8월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의 북한 경수로 건설산업 등 북한 지역 공사실적이 국내 건설사 중 4위(539억원)로 대북 전력사업 참여를 기대하고 있다. 경남기업은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추진한 경험이 있어 대북사업에 최적의 경쟁력을 갖춘 곳으로 꼽힌다.

SM상선도 북한의 광물과 현지 노동력을 활용해 생산한 물자를 실어 나르는 사업계획을 염두에 두고 사전준비를 하고 있다. 수출물동량 증가와 경제 활성화 기회를 선점하기 위해 환동해, 환서해 경제 벨트를 중심으로 서비스 노선 개설과 터미널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그룹 관계자는 “남북 교류 정상화를 전제로 우수 인적자원과 특화된 기술, 경영노하우를 집대성할 분야에서 윈-윈 할 수 있는 대북사업 진출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기업 중에서는 롯데그룹이 이미 북한을 비롯해 러시아 연해주, 중국 동북 3성까지 아우르는 북방 지역 연구와 협력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북방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북방 TF는 북방 지역에 진출한 식품·관광 계열사들을 활용해 교류를 활성화하고 문화·경제적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남북경협의 핵심인 개성공단 입주를 희망하는 기업들도 늘어나고 있다. 한세예스24홀딩스의 비상장 자회사 ‘동아출판’은 남북 경제협력 여건이 조성되면 개성공단 입주를 고려하고 있다.

출판업이 노동집약적인 사업인 만큼 인건비가 10분의 1 수준으로 싼 개성공단으로 공장을 이전하는 방안이 생산성 향상을 위해 낫다는 점에서다. 동아출판의 서울 편집과 안산 인쇄·물류센터에선 모두 30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해 1,232억원의 매출을 올려 영업이익 78억원과 순이익 52억원을 달성했다.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는 “최근 개성공단 입주를 희망한다고 전화로 문의하는 기업들이 하루 20여곳에 이른다”며 “공단이 재개돼 2∼3단계 공사가 이뤄지면 추가 입주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아산은 2002년 12월 개성공단 2,000만평(65.7㎢)에 대해 50년간 토지이용증을 취득했다. 개성공단 안에선 1단계 조성 공사만 끝낸 상태로 2∼3단계 공사가 남았다. 현대아산은 2004년 4월 개성공단 1단계로 100만평 조성 공사에 착수해 2005년 8월 1차 5만평 등 3차에 걸쳐 분양했으나 일부 미분양 물량이 남았다. /연합뉴스

이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