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내가 쓰는 회전형 카시트, 미국에는 가져갈 수 없는 이유

- 북미, 호주에서는 차량에 내장된 3점식 ISOFIX 결합장치를 카시트에 모두 체결해야

- ISOFIX 결합장치를 2점식으로 체결하는 레그 타입의 회전형 카시트 판매불가

- 유아용 카시트는 안전용품, 기호나 편리함 보다 안전 기능을 중점으로 선택해야




아이를 키우며 반드시 갖춰야 할 필수용품 중 하나인 ‘카시트’. 아이의 안전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있는 ‘안전용품’이다. 보통 카시트 선택 시 편리함, 가격, 디자인을 보고 선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하지만 안전용품인 카시트 선택 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바로 ‘안전성’ 여부와 ‘올바른 장착’이다. 아무리 안전한 카시트라 하더라도 제대로 된 장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카시트의 역할을 100% 수행할 수 없기 때문.





‘카시트 장착 방식’ 확인 필요… 북미 3점식 ISOFIX와 유럽 2점식 ISOFIX

카시트를 선택 시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 디자인도 가격도 아닌 ‘카시트 장착방식’ 이다. 2011년 이후 출시된 차량이라면 ‘ISOFIX(아이소픽스)’라는 카시트 고정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ISOFIX란 조금 더 쉽고 정확하게 카시트를 장착할 수 있도록 카시트 브랜드 ‘브라이텍스’와 ‘폭스바겐’이 합작하여 1997년 개발, 상용화한 카시트 장착 국제표준규격(ISO), 카시트 고정(FIX) 장치를 말한다. 차량의 ISOFIX 적용 여부의 경우 차량 좌석 상, 하단부의 3점식 ISOFIX 결합 앵커가 위치하고 있는지 확인해보면 된다.



신생아부터 18kg까지 사용하는 신생아 카시트는 종류에 따라 차량의 3점식 ISOFIX 결합 앵커를 모두 사용하여 카시트를 장착하는가 하면, 2점식 결합앵커(하단부만 사용)만 사용하는 카시트가 있다.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에서는 3점식 테더타입 ISOFIX를 사용하여 차량에 설치된 상, 하단부의 결합앵커를 모두 사용하여 카시트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3점식 테더타입 ISOFIX는 탑테더벨트로 카시트 상단을 고정하고, ISOFIX앵커에 카시트 하단을 고정하는 방식이다. 탑테더벨트는 사고 시 아이의 머리 이동량을 최소화며 카시트 흔들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3점식 테더타입 ISOFIX는 ISOFIX가 적용된 전 차종에 사용이 가능하다.

EU 연합 국가의 컨버터블 카시트(0~18kg)는 2점식 레그타입 ISOFIX를 사용, 차량 하단부의 2점식 결합앵커만을 사용한다. 2점식 레그타입 ISOFIX 방식의 경우 차량 상단부의 결합앵커에 카시트를 장착시키는 ‘테더’가 없으며 하단부에 서포트 레그가 달려있다. 2점식 레그타입 ISOFIX의 경우 국내에서는 대부분의 회전형 카시트가 채택하고 있는 형태이다.

2점식 레그타입 ISOFIX인 회전형 카시트는 ‘테더’가 없어 북미, 호주에서 판매 불가


회전형 카시트로 대표되는 2점식 레그타입 ISOFIX는 북미(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에서는 판매가 불가능한 형태의 카시트이다. 그 이유는 ‘테더’가 없기 때문. 테더가 카시트의 상단부를 잡아주어 카시트의 흔들림을 줄이고, 사고 시 아이의 머리 이동량을 최소화하기 때문이다. 2점식 레그타입 ISOFIX의 경우 카시트 하단에 서포트 레그가 있긴 하나 테더와 달리 고정이 되지 않아 3점식 테더타입 ISOFIX 카시트에 비해 흔들림이 있을 수 있다.

관련기사



그렇다면 테더가 없는 2점식 레그타입 ISOFIX는 위험한 것일까? 꼭 그렇지만은 않다. 2점식 레그타입 ISOFIX도 ECE, KCL등 국가 안전 인증 기준 시속 약 50km의 충돌 테스트를 모두 통과한 제품으로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국가 인증 기준을 넘는 사고 시에는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독일 소비자 기관 ADAC가 2016년 10월, 시속 64km(법적안전기준 시속 약 50km)로 충돌테스트를 한 결과, 일부 2점식 레그타입 ISOFIX 카시트에서 안전 문제가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카시트 베이스와 좌석이 분리되는 현상 발생)




카시트는 ‘안전용품’… 안전한 장착법과 흔들림 없는 장착방식 확인하여 구매 필요

국내에서는 3점식 테더타입 ISOFIX보다는 2점식 레그타입 ISOFIX에 대한 인지가 높은 편이다. 대부분의 회전형 카시트가 2점식 레그타입 ISOFIX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국내의 경우 해외보다 회전형 카시트의 판매와 선호도가 높기 때문이다. ‘ISOFIX=서포트 레그’로 잘못 인지하고 있는 소비자들도 많은 상황이다.

신체 기관의 발달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신생아의 경우, 신체 중 머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돌 전후까지는 반드시 후방장착(뒤보기)으로 카시트를 설치하여야 한다. 3점식 테더타입 ISOFIX는 카시트 상단을 테더 벨트로 잡아주어 머리 이동량을 줄일 수 있는 흔들림이 거의 없는 장착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에 설치된 상, 하단부 3점식 결합앵커를 모두 사용하였기 때문에, 하단부 2점식 결합 앵커만을 사용하는 2점식 레그타입 ISOFIX보다 흔들림이 적을 수밖에 없다. ISOFIX를 최초 개발한 카시트 브랜드 ‘브라이텍스’의 경우 테더의 중요성을 강조, 카시트 앞뒤로 양방향을 고정시키고 카시트 승하차시 테더벨트의 간섭을 줄이는 ‘베르사테더’를 개발하여 세계 특허를 받기도 하였다.

카시트는 ‘안전용품’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차량의 ISOFIX 결합 앵커 여부 및 카시트 장착 형태에 대해 반드시 확인하여 아이의 안전을 위한 카시트를 구매하도록 해야 한다.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