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P2P협회 누적대출액 절반이 부동산… 연체율 상승 우려 높아져

전년대비 누적대출액 2배

전체의 절반 부동산 대출

부동산 연체율 18% 우려

한국P2P금융협회 회원사들의 총 누적대출액이 2조을 넘은 가운데 이중 절반 이상이 부동산 대출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앞서 P2P 부동산 대출의 연체율이 18%에 육박한다며 투자자들에 주의를 당부한 바 있다. 연체율이 높은데 누적대출액이 늘어난다는 것은 그만큼 돈을 떼일 수 있는 투자자들이 늘어난다는 지적이다. 또한 협회 회원사들의 평균 연체율도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상승했으나 협회는 연체율 공시기준이 달라져 발생한 착시효과라고 해명했다. 다만 금융감독원은 실제 연체율이 이보다 더 높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한국P2P금융협회는 15일 협회 회원사의 누적대출액을 5월 기준 2조 2,093억원으로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2배 늘어난 규모다. 항목별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가 7,961억원, 부동산 담보 7,179억원, 신용대출 1,702억원, 기타담보가 5,250억원을 기록했다. 부동산PF와 담보 대출이 전체의 절반 이상 차지한 것이다. 금감원은 앞서 P2P업체의 부동산 대출의 연체율과 부실률을 합치면 17.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며 투자자들에 P2P 부동산 대출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연체율은 30일 이상, 90일 이하 연체된 비율을 말하며, 부실률은 90일 이상 연체된 비율을 말한다.


한편 협회는 이번 공시부터 연체율의 기준을 변경 적용하기로 했다. 이전에 누적대출액을 기준으로 연체율을 표시했다면 이번부터 잔액을 기준을 삼았다. 이로써 모수가 작아져 연체율이 이전보다 높게 보이게 된 것이다. 회원사 관계자들은 “그동안 연체율 변동폭은 비교적 작았는데 이번에 크게 증가한 것은 이런 착시효과 때문”이라고 입을 모았다.

관련기사



하지만 금융감독원은 연체율이 이보다 더 높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한 금감원 관계자는 “협회 차원에서는 대출상품을 미리 파는 등 연체율을 최대한 낮추려고 할 수 있다”면서 “실제 연체율은 이보다 좀 더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손구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