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민간인 신분으로 장사상륙작전서 전사 황재중 선장…68년만에 충무무공훈장

25일 고 황재중 문산호 선장 충무무공훈장 전달식에서 고양자씨(고 황재중 선장 외손녀)가 무공훈장을 들고 해군 장병들과 기념사진을 찍고있다.25일 고 황재중 문산호 선장 충무무공훈장 전달식에서 고양자씨(고 황재중 선장 외손녀)가 무공훈장을 들고 해군 장병들과 기념사진을 찍고있다.



해군은 6·25 전쟁 중 민간인 신분으로 장사상륙작전에 참여했다가 전사한 황재중 선장에게 충무무공훈장을 추서하고, 훈장을 고인의 외손녀인 고양자(63)씨에게 25일 전수했다.

1950년 6·25 전쟁 발발 당시 대한해운공사 소속 선박인 문산호의 선장이었던 고인은 전쟁 초기부터 해군작전에 참여해 같은 해 7월 27일 육군의 이응준 장군이 지휘하는 병력을 여수로부터 철수시키라는 임무를 수행했다.


또 1950년 9월 14일 인천상륙작전을 앞두고 북한군 병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실시된 장사상륙작전에도 참가했다. 장사상륙작전은 경북 영덕군 장사리에 육군 제1유격대를 상륙시켜 북한군의 보급로를 차단하는 한편 북한군 주력부대를 유인하려는 목적으로 감행됐다.

관련기사



이 작전에 참여한 유격대원 772명은 문산호를 타고 상륙지역으로 이동했으나, 태풍으로 배가 좌초하는 바람에 북한군으로부터 집중포화를 받는 어려움 속에서도, 끝내 상륙을 감행해 북한군의 보급로를 차단하는 데 성공했다.

당시 북한군은 대규모 병력이 상륙한 것으로 오인하고 주력부대를 이동시켰고 유격대원들과 문산호 선원들은 배가 좌초돼 철수할 수도 없는 상황에서 일주일간 혈투를 벌여 북한군 200여 명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렸다. 그러나 황재중 선장을 비롯한 130여명의 유격대원과 선원은 전사했다.

황 선장에 대한 충무무공훈장 전달식은 외손녀인 고씨가 거주하는 제주도에 주둔한 해군 7전단 세종대왕함에서 열렸다. 고인이 장사상륙작전에 참여했다가 전사한 지 68년 만에 훈장이 추서됐다.

엄현성 해군참모총장은 최성목 해군 7전단장이 대독한 축사에서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을 수 있도록 헌신하신 참전용사들의 공적을 기리는 것은 후손들이 해야 할 당연한 의무”라며 “이분들을 기억하고 명예를 드높이는 것은 우리 장병들의 애국심을 고취하는 데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해군은 장사상륙작전에 참여했다가 황 선장과 함께 전사한 문산호 선원 10명에 대한 공적확인과 훈장추서도 추진한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