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삼성전자 우선주 외인 비중 들쑥날쑥은 금감원 탓

액면분할 이후 10%P 급등락

지난해 도이치증권 주문 실수

시스템에 전달 안해...논란일 듯




삼성전자 우선주의 외국인투자가 보유 비중이 액면분할 재상장 이후 들쑥날쑥하면서 시장의 혼란을 키우고 있다. 실제 외국인 매수·매도와는 상관없는 금융감독원의 시스템 입력 누락 탓으로 밝혀져 논란이 되고 있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전자 우선주의 외국인 보유 비중은 액면분할 재상장을 실시한 지난 5월4일부터 급등락했다. 액면분할 직전인 4월27일 외국인 비중은 82.87%였는데 액면분할 당일인 4일 갑자기 92.87%로 무려 10%포인트가 급등했다. 당시 시장은 거래량 급증에 휩쓸려 크게 늘어난 외국인 비중에 신경 쓰지 않았다. 하지만 이후 삼성전자 우선주의 외국인 비중은 6월 들어 한 번 더 출렁였다. 4일 이전과 달리 반대로 92.64%에서 84.15%로 8%포인트가량 급락한 것이다.

관련기사



문제의 원인은 외국인의 국내 금융시장 투자를 관리·감독하는 금융감독원의 시스템 처리 누락이었다. 지난해 초 도이치증권이 삼성전자 우선주를 거래하는 과정에서 주문 실수로 2조3,000억원을 매수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금융감독원이 이를 외국인투자관리시스템에 전달하지 않아 액면분할 재상장 과정에 와서 삼성전자 우선주의 외국인 보유 비중이 갑자기 급격히 올라간 것이다. 지난해 사건 발생 당시에는 한국거래소가 도이치증권에 회원 제재금을 물리는 등 조치를 취했지만 금감원의 미흡한 후속 조치로 문제가 터진 셈이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액면분할 재상장 이후 관련 시스템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해 6월 초 외국인 보유 비중을 80%대로 하향 조정했다”며 “삼성전자 우선주의 외국인 보유 비중이 액면분할 직후 90%를 넘긴 것은 명백한 오류”라고 인정했다.

액면분할 이후 ‘국민주’라고 불릴 정도로 시장의 관심을 끈 삼성전자에 대해 시스템 오류가 발생한 것은 투자자 입장에서는 실망스러운 일이다. 외국인의 수급은 개인은 물론 기관투자가들에도 종목에 대한 매수·매도를 결정할 때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데 투자자 입장에서는 액면분할 직후 약 한 달 동안 잘못된 사실에 기반해 투자를 하게 된 것이기 때문이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금융감독원이 초보적인 실수를 저질렀다”고 꼬집었다.


이경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