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아하! 건강상식]여름 감기, 열나고 배탈·설사·구토 동반

실내외 온도차이 5℃ 이내로

0415A31 헬스22



회사원 김철현(35)씨는 얼마 전 복통과 설사로 병원을 찾았다가 감기에 걸렸다는 진단을 받았다. 속이 살짝 불편한 것 외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었지만 담당의사는 자칫 방치하면 합병증이 올 수 있다며 입원을 권유했다. 김씨는 “감기는 몸살과 기침이 주요 증상인줄 알았는데 여름에 걸리는 감기는 따로 있다는 얘기를 듣고 놀랐다”고 말했다.

고온다습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감기 환자가 늘고 있다. 감기는 추운 겨울에 주로 걸리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여름에도 여전히 맹위를 떨치기 때문에 면역력이 약한 노년층과 어린이는 주의가 필요하다.

감기는 감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뒤 호흡기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여름 감기는 급격한 온도 변화로 신체의 방어 능력이 떨어졌을 때 주로 걸린다. 습고 무더운 날씨 때문에 실내온도를 바깥보다 5도 이상 낮추면 혈액순환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감기 바이러스에 취약해지기 때문이다.


여름 감기에 걸려도 몸에 열이 난다. 하지만 더운 날씨가 체온을 함께 올리기 때문에 감기에 걸린 것을 모른 채 날씨 탓으로 착각하기 쉽다. 배탈, 설사, 구토 등의 소화기 증상이 이어지면 이마저도 음식을 잘못 먹었기 때문으로 여기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큰 증상이 없다는 이유로 방치하면 중이염, 늑막염, 폐렴 등으로 발전할 수 있어 조기에 병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기사



여름 감기를 예방하려면 실내외 온도 차이가 5도 이상 나지 않도록 유지해야 한다. 에어컨 바람이 몸에 직접 닿지 않도록 소매가 긴 옷을 입거나 얇은 담요를 덮는 것도 도움이 된다. 실내 습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공기가 건조하면 호흡기 점막이 약해져 감기뿐만 아니라 다른 호흡기 질환에 걸린 위험이 높아진다.

여름 감기인줄 알고 병원을 찾았다가 레지오넬라증 환자로 판정되는 경우도 있다. 레지오넬라증은 레지오넬라균에 감염돼 걸리는 급성호흡기질환이다. 덥고 습한 환경을 좋아하는 레지오넬라균은 대형건물의 냉각탑이나 샤워기, 수도꼭지 등의 오염된 물에 번식한다. 조기에 발견하면 완쾌되지만 제 때 치료를 받지 않아 폐렴으로 진행되면 치사율이 40%에 달하기 때문에 노년층과 어린이 등 면역력이 취약한 사람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최천웅 강동경희대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여름 감기는 배탈, 설사, 구토 등 소화기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기침과 고열이 주요 증상인 겨울 감기와 양상이 다르다”며 “여름 감기를 방치했다가 병원을 찾는 환자 상당수는 비염, 중이염, 천식 등 다른 질병으로 발전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몸에 이상을 느끼면 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