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바이오 산업혁명, 유전자 편집 기술로 앞당긴다!

DNA 교정 기술 및 활용 분야의 특허출원 증가

유전자 편집기술 출원동향. /자료=특허청유전자 편집기술 출원동향. /자료=특허청



유전자 편집 기술이 본격적으로 개발되면서 ‘생명의 설계도’를 자유자재로 재가공하는 시대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유전자 편집은 유전체의 특정 위치에서 자유자재로 DNA의 구조를 변화시키는 기술로 인공 DNA 절단 효소인 ‘유전자 가위’가 대표적 기술이다. 특히 크리스퍼(CRISPR)로 알려진 3세대 유전자 가위는 2015년 과학전문 주간지 사이언스가 혁신기술 1위에 선정할 정도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바이오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8일 특허청에 따르면 유전자 편집 활용기술을 중심으로 동식물의 유전자 교정을 가능케 하는 유전자 편집 관련 특허출원이 최근 크게 증가하고 있다.

관련 출원은 2008년 이후 지난 10년간 15배 늘었고, 최근 3년간의 출원 건수는 이전 3년에 비해 78%나 증가했다. 유전자 편집 관련 출원은 유전자 편집 기술이 생물체를 새로 디자인하는 기술인 ‘합성생물학’과 접목되면서 향후에 더욱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10년간 출원인별 동향을 보면 내·외국인 출원 건수가 각각 138건(41%), 159건(59%)으로 외국인의 출원 비중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이 중 주목할 만한 부분은 내국 출원인의 경우 대학 및 연구소의 출원이 68%로써 기업체 출원(32%)에 비해 2배 이상 높고 외국 출원인은 기업체 출원이 57%를 차지해 상반된 결과를 보인 점이다. 이는 외국 연구자들의 경우 다수가 기업체를 설립하고 다국적 제약회사의 자금을 지원받아 연구 개발을 수행한 결과로 분석된다.

기술 분야별로 보면 유전자 편집의 플랫폼(기반) 기술관련 출원은 제3세대 유전자 가위가 처음 개발된 2012년부터 급증, 2014년에 출원 건수가 정점에 도달한 후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반면 유전자 편집 응용기술 관련 출원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유전자 편집기술 관련 연구 방향이 실제 질병 치료나 생물 재설계에 적용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유전병이나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는 국산 기술 개발이 멀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신경아 특허청 바이오심사과장은 “유전자 편집 기술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바이오 분야 핵심 기술로서, 향후 관련 산업의 발전 및 일자리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특히 한국은 유전자 편집의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향후 국내 기업들이 국내 및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응용기술 개발과 함께 특허권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