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스토리텔링]독재·내전 겪고 왔다지만...예멘 난민, 받아들여도 될까?

무비자 제도있는 제주로 피란민들 무더기 입국

유럽·미국 휩쓴 난민 문제, 순식간에 '우리 일'로

인도주의와 현실주의 사이서 갈라진 여론…선택 남아

한국에서 무려 8,300km나 떨어진 ‘미지의 나라’ 예멘. 서울-부산을 10번 이상 왕복할 수 있는 거리에 있는 머나먼 곳에서 온 피란민 500여명 때문에 대한민국이 들끓고 있습니다. 이들은 어떻게 고향을 떠나 머나먼 제주도까지 온 걸까요?




과거 한 나라였다가 지금은 터키가 된 오스만 제국과 영국의 지배를 받으며 남북으로 갈라졌던 에멘. 1962년 오스만 제국에서 북예멘이 독립하고 5년 뒤 영국의 지배를 받던 남예멘도 독립했지만 하나의 나라가 되지는 못했습니다. 자본주의 국가가 된 북예멘과 달리 구 소련의 지원으로 남예멘에는 사회주의 정권이 들어섰거든요.

두 예멘은 수차례 전쟁을 치렀지만 1989년 남북정상회담을 거쳐 이듬해 기적적으로 통일을 이룹니다. 하지만 1994년 남예멘이 다시 독립을 시도하며 내전이 재개됩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지원을 받은 북예멘이 다시 예맨 전역을 완전히 장악할 때까지 말입니다.






1999년 통일 예멘의 정권을 장악한 알리 압둘라 살레 전 대통령은 안타깝게도 독재자였습니다. 대다수 국민이 빈곤에 허덕이지만, 자신은 해외 계좌에 수십억 달러를 숨겨둘 정도였지요. 하지만 2010년 중동지역에서 퍼진 ‘아랍의 봄’과 민주화 바람이 예멘에도 상륙했고, 살레 전 대통령은 2011년 자리에서 물러납니다.

관련기사



하지만 독재자가 물러나도 나라는 안정되지 않았습니다. 이번에는 주변국들이 가세한 ‘종교전쟁’이 벌어졌지요. 2015년 수니파인 예멘 정부군과 시아파인 후티 반군이 맞붙었고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이 각각 이들을 지원하면서 예멘은 순식간에 중동 분쟁의 축소판으로 전락했습니다. 미국도 사우디에 무기를 판매하면서 뒤로 예멘 정부를 지원하는 동시에 9·11 테러를 일으킨 알카에다 소통작전을 예멘에서 전개하면서 혼란에 기름을 부었습니다.

결국 예멘 인구 2,800만명 중 2,000만명이 빈곤에 허덕이게 됐고 200만명이 전쟁을 피해 피난길에 올랐지요. 해외로 탈출한 피란민도 28만명에 달합니다. 말레이시아를 거쳐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는 한국의 제주도까지 흘러들어온 것은 이들 중 극히 일부이지요. 열강들에 의한 식민지배와 독재, 이데올로기에 바탕을 둔 대리전, 그 속에서 고통을 겪는 민간인들. 예멘의 역사, 어딘지 익숙하군요.



그런데 굴곡진 현대사를 피해 한국에 온 피란민들을 무작정 받아들일 수는 없습니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예멘 등지에서 난민 문제를 만든 ‘원죄’는 유럽과 미국, 그리고 이들을 등에 업은 주변국들이 갖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국가들도 넘치는 난민을 감당할 수 없다는 여론이 들끓고 있습니다. 반(反)난민 정서를 등에 업은 극우정당들의 지지율이 급상승하고, 회원국들의 입장이 충돌하며 유럽연합(EU)이 분열사태를 겪을 정도입니다. 늘어나는 테러와 문화 충돌, 재정부담 등 현실적인 문제들이 터져 나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남의 일’이라고 생각했던 난민 문제는 한국을 찾아온 예멘인들과 함께 ‘우리 일’이 됐습니다. 이들과 함께 유럽, 미국 등이 먼저 겪었던 난민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도 찾아왔습니다. 삶의 터전을 잃어버린 피란민들을 향한 인도주의와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감당해야 할 책임. 난민에 빗장을 열었을 때 감당해야 할 현실적 문제들. 이러한 가치들을 두고 반으로 갈라진 여론 사이에서 대한민국이 어떤 선택을 내려야 할까요?
/연유진·정가람기자 economicus@sedaily.com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