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日 취업시장 훈풍 분다지만...알고보니 비정규직이 절반?

비정규직 2,100만명 '사상 최대'

고령층 퇴직후 재취업 사례 늘어





1615A12 일본 비정규직


일본의 비정규직 노동자가 2,100만명을 넘어서며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14일(현지시간)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총무성이 전날 발표한 ‘2017년 취업구조 기본조사’ 결과 지난해 10월1일 기준 ‘일하는 사람(취업근로자)’ 수는 6,621만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2년을 기준으로 한 직전 조사 때보다 179만명 증가했다. 일손 부족과 경기 호황으로 취업자가 늘어난 덕분이다.

관련기사



문제는 취업자 증가분의 절반 이상은 상대적으로 일자리의 질이 낮은 비정규직으로 채워졌다는 점이다. 2017년 유기계약직이나 파견사원 등 비정규직 노동자 수는 2,133만명으로 1979년 이 조사가 시작된 후 가장 많았다. 비정규직 증가율은 전체 취업노동자 증가분의 50.3%를 차지했다. 임원을 제외하더라도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율이 38.2%나 됐다. 비정규직 중에서는 시간제 근로자나 아르바이트 종사자가 1,472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계약직 사원이 303만명, 파견노동자는 142만명이었다.

비정규직 노동자가 늘어난 데는 퇴직 후 재취업을 하는 고령층 노동자의 증가가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베이비붐세대인 ‘단카이세대(1947~1949년 출생자)’가 정년퇴직 후 유기계약직이나 파견직 등으로 재취업하는 사례가 늘면서 이들을 대상으로 한 비정규직 취업시장이 확대됐다는 의미다. 실제로 60세 이상의 고령 취업자 중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2년보다 1.3%포인트 증가했지만 15~34세의 젊은 층은 2.4%포인트 감소했다. 신문은 일본이 실업률은 줄어들고 취업률이 높아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비정규직 위주의 취업시장 확대라는 고용의 질 악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