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출판계 블랙리스트 뼈아픈 반성...필요하면 추가 조사 시행하겠다"

김수영 신임 출판문화산업진흥원장

김수영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신임 원장이 18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운영 방향을 밝히고 있다. /사진=연합뉴스김수영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신임 원장이 18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운영 방향을 밝히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수영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신임 원장이 18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김수영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신임 원장이 18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수영 신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원장이 18일 오전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운영 방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김수영 신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원장이 18일 오전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은 출판계 블랙리스트 작성, 낙하산 인사 등의 과오에 대해 뼈아픈 반성을 하며 국민께 깊이 사과 드립니다. 앞으로 진흥원은 ‘책의 정신’ ‘출판의 정신’을 복구하고 신뢰를 쌓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기사



18일 김수영 신임 한국출판문화사업진흥원 원장은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김 원장은 이어 “블랙리스트 작성에 관여해 수사 의뢰 대상자가 된 2명 등에 대해서는 내용을 검토하고 있다”며 “이 자리에서 추가 조사를 할 것이라고 밝히는 것은 무리가 있지만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면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원장은 오랫동안 공석이던 진흥원장에 지난 12일 임명됐다.

김 원장은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정책 연구에 주력하며 독자에게 더욱 가까이 다가가는 진흥원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그는 “들려오는 목소리에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에 나타나 직접 청취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을 수립하는 진흥원이 될 것”이라며 “진흥원은 공적 기구이기 때문에 중장기적 비전을 세우고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원장 직할 조직으로 정책연구센터도 열었으며 앞으로는 출판진흥기금, 도서정가제, 유통 선진화 시스템 등 출판 업계가 당면한 과제가 좀 더 집중적으로 논의될 수 있도록 상설화된 토론기구 등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과거에는 독자를 소비자로 봤지만 지금은 생산자와 소비자의 구분이 무의미하다”며 “생산자(작가)로의 독자에 대한 관심을 넓혀 독자가 책을 읽고 출간할 수 있는 자유로운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진흥원은 이를 위해 출판기획안, 완성된 원고 등을 공모전 등의 형식으로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김 원장은 최근 출판계의 이슈인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세종도서 선전 보급 등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그는 “도서구입비 소득공제에 대해서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있고 도서정가제에 대해서는 출판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 같다”며 “진흥원은 ‘어느 방향’이라고 깃발을 꽂는 조직이 아니기 때문에 출판계의 여러 목소리가 나올 수 있도록 토론을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진흥원이 하고 있는 세종도서 선정을 민간으로 이양하라는 대한출판문화협회 등의 주장에 대해 그는 “블랙리스트로 인해 불거진 세종도서 민간 이양을 둘러싼 찬반양론은 이견의 문제가 아니라 우수도서를 지원하는 공적 자금을 어떻게 올바르게 사용하느냐의 문제”라며 “만약 민간 이양을 본격적으로 논의하더라도 어떤 방법으로 세종도서를 운영해나갈 것인지를 위원회 구성으로 방향을 잡아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도서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관인 진흥원이 학술·교양·문학의 3개 분야별로 매년 두 차례 우수도서를 선정한 뒤 이를 사들여 공공도서관과 법무부(교정도서관), 국방부(병영도서관), 지방자치단체, 학교 등 모두 8,200여곳에 보급하는 사업으로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4~2015년 심사 과정에서 22종의 도서가 정부 지시로 탈락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