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우체국도 동참...영역 커지는 최태원式 '공유인프라'

SK에너지-우정사업본부 MOU

우체국·주유소 결합 플랫폼 구축

전기차충전·택배서비스 등 한번에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공유인프라’ 경영에 정부기관인 우정사업본부가 동참하기로 했다. 오래된 우체국과 신도시의 신축 우체국은 주유소와 전기차 충전소 등이 결합한 통합 플랫폼으로 개발된다.

SK이노베이션(096770) 자회사인 SK에너지와 우정사업본부는 18일 서울 서린동 SK 본사에서 서로 보유한 자산을 활용해 사회·경제적 가치를 증진시키자는 취지의 업무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우선 SK에너지와 우정사업본부는 우체국과 주유소가 결합한 복합 네트워크 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체국과 주유소 기능뿐만 아니라 전기·수소 충전소 등의 다양한 역할 수행이 가능한 미래형 복합 네트워크를 구축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올해 안에 수도권의 오래된 우체국 재개발과 전국 혁신도시 신규 우체국사 개발 사업을 시작으로 복합 네트워크를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 우정사업본부는 전국 3,500개소에 우체국을 두고 있으며 SK에너지는 3,570여곳의 주유소를 운영하고 있다.

관련기사



우체국과 주유소의 결합 모델 이외에도 양측은 다양한 협력 모델을 개발해나가기로 했다. 예컨대 현재 우체국에서 진행하고 있는 우체국 국제특송(EMS)을 SK에너지와 GS칼텍스가 함께 진행 중인 개인 간 택배서비스 ‘홈픽’과 연계해 운영하거나 SK에너지가 자회사 내 트럭을 통해 화물차휴게소 사업 등도 공동으로 진행할 수 있다. SK이노베이션의 한 관계자는 “아직 시작 단계인 만큼 구체적인 사업모델이 나온 것은 아니며 앞으로 양측이 고민해야 할 부분”이라면서 “수익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협약은 최 회장이 강조해온 ‘공유인프라’ 경영 철학에 정부기관이 호응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고 SK는 평가하고 있다. 최 회장은 170조원에 달하는 SK그룹의 보유 자산을 협력사와 사회와 공유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며 지금까지 SK그룹 자산의 활용을 고민해왔다. SK에너지의 주유소가 대표적이며 SK텔레콤의 유통망, 각 계열사의 특허 등 지적 자산과 사옥 등 부동산 등도 공유 인프라의 대상이다. 그동안 SK그룹 내부에서 고민해오던 ‘공유인프라’는 지난달 SK에너지와 GS칼텍스가 함께 홈픽을 선보이면서 그룹 외부로 확대됐으며 이제 정부 영역까지 영향이 확대됐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은 국회의원 시절 사회적가치실현법을 발의한 적이 있으며 현 정부도 사회적 가치 실현에 무게를 두고 있다”며 “우체국이 시작이지만 다른 공공기관과 공기업 등으로 확산할 경우 공유인프라 등 최 회장의 ‘사회적 가치 창출’ 경영이 더욱 힘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성주(왼쪽) 우정사업본부 본부장과 조경목 SK에너지 사장이 18일 서울 종로구 서린동 SK 본사에서 보유 자산 활용을 통한 사회·경제적 가치를 증진하자는 내용의 업무제휴 협약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제공=SK이노베이션강성주(왼쪽) 우정사업본부 본부장과 조경목 SK에너지 사장이 18일 서울 종로구 서린동 SK 본사에서 보유 자산 활용을 통한 사회·경제적 가치를 증진하자는 내용의 업무제휴 협약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제공=SK이노베이션




우체국사-SK주유소 복합 플랫폼 예상도. /사진제공=SK이노베이션우체국사-SK주유소 복합 플랫폼 예상도. /사진제공=SK이노베이션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