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마곡에 '스마트에너지시티' 만든다

친환경·신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2022년까지 전력자립률 30% 확대

서울시가 강서구 마곡지구에 친환경 에너지 이용을 늘려 미세먼지·온실가스 감축을 꾀하는 ‘스마트에너지시티’ 모델을 구축한다.

시 산하 기관인 서울에너지공사는 GS건설, LG전자, GS파워 등 에너지 전문 기업들과 함께 마곡지구를 스마트에너지시티로 만들 계획이라고 23일 밝혔다.


스마트에너지시티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친환경 에너지 사용을 늘리는 도시 발전 모델이다. 미세먼지, 기후변화 등의 문제를 해결할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관련기사



시는 마곡지구에 스마트에너지 홈·빌딩·커뮤니티·타운·지역난방 등 5가지 대표 모델을 만들 예정이다. 이들 모델이 성공적으로 정착하면 오는 2022년까지 마곡지구 내 전력자립률이 30%로 높아지고 미세먼지는 연간 190톤, 온실가스는 18만톤 감축된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박진섭 서울에너지공사 사장은 “세계 여러 도시가 직면한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와 미활용에너지 이용을 확대하고 에너지 효율 개선을 통해 수요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며 “지능화된 에너지 이용을 통해 서울시의 에너지전환을 촉진하고 교통, 환경, 건축 등 모든 분야에서 새로운 도시 에너지 문화를 창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친환경 도시 건설 프로젝트가 확대되자 서울에너지공사는 올해 초부터 스마트에너지시티 조성을 준비해왔다. 지난 5월 GS건설, LH공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등 23개 기관과 함께 ‘스마트 제로 에너지 시티(Smart Zero Energy City)’ 개발을 위한 국가 실증과제의 총괄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 이후 마곡지구를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미활용에너지 사용 확대를 연구하고 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