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靑 “양제츠 방한, 분위기 좋았다...합의 이뤄진 자리는 아냐”

중국의 종전선언 참여, 사드 보복 해제 등 논의한 듯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지난 3월 29일 오후 서울 조선호텔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특별대표 자격으로 방한한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정치국 위원을 만나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지난 3월 29일 오후 서울 조선호텔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특별대표 자격으로 방한한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정치국 위원을 만나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청와대가 양제츠 중국 외교 담당 정치국원이 이달 중순 극비리에 방한한 것과 관련해 “합의가 이뤄졌다든지 하는 자리는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청와대의 한 고위관계자는 31일 기자단에 보낸 메시지에서 “(양 정치국원이 방한해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만나) 좋은 분위기에서 현안을 논의했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양국 정부 간 보다 원활한 대화를 위해 비공개로 다녀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단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해제와 관련된 방안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관계자는 ‘사드 보복 해제 관련 논의가 있었나’라는 질문에 “있었을 것”이라고 답했다.

관련기사



또 중국의 종전선언 참여 여부도 논의됐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 발 나아가 우리 정부가 중국의 종전선언 참여 가능성에 대해 더욱 긍정적 입장으로 변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 이와 관련,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양 정치국원이 다녀간 후인 지난 25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중국의 종전선언 참여 문제에 대해 “중국도 한반도 문제에서 같이 협력해야 할 중요한 상대국이며 장기적으로는 합의의 무게를 더할 수 있는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한 바 있다.

한편 청와대는 일부 언론이 ‘6·12 싱가포르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남북미 3자 종전선언을 제안했으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이 여기에 포함돼야 한다며 거부하는 등 종전선언을 두고 의견 대립이 있었다’고 보도한 데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해당 보도에서 한국 정부가 종전선언문 가안까지 마련해 놨다고 전한 데 대해서도 “사실이 아니다”라고 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