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발언대] 골목길 소형트럭 먼저 친환경화해야

임기상 자동차시민연합 대표




연일 계속되는 찜통더위에 미세먼지와 오존 농도까지 높아지면서 시민들이 ‘숨 막히는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대기오염 물질이 뜨거운 햇볕과 만나 초미세먼지 및 오존을 생성하는 광화학반응이 활발해졌기 때문이다.

2차 생성 미세먼지와 오존의 주요 원인물질은 자동차가 배출하는 질소산화물이다. 수도권의 경우 질소산화물 배출량의 48%가 자동차로 인한 것인데 경유차가 자동차 배출 질소산화물의 90%를 내뿜고 이 중 화물차가 62%를 차지한다.

소형 화물차는 최근 경기 불황에 따른 자영업자 증가 등으로 판매량이 지속해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1톤 트럭 포터는 지난해 그랜저에 이어 국내 자동차 판매 2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소비자의 친환경 차종 선택권은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이 안타깝기만 하다.


소형 화물차는 택배·배달용 등 생활형 트럭이기에 주택가 골목 곳곳에서 저속 주행과 공회전을 하며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을 다량 배출한다. 어린이·노인 등 미세먼지 취약계층이 이 배출가스를 고스란히 들이마실 수밖에 없다. 시민들과 가까이 있기에 고속도로를 달리는 산업형 차량보다 인체 위해성이 높다.

관련기사



소형 화물차의 근본적인 친환경 연료 전환 대책이 필요한 현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경유 대신 액화석유가스(LPG) 엔진을 활성화하는 방안이 현실적이라고 이야기한다. LPG 차는 미세먼지 배출량이 극미하고 질소산화물 배출량도 경유차의 93분의1에 불과하다. 1톤 트럭들을 LPG 차량으로 전환한다면 골목길 미세먼지 배출량도 대폭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오염된 공기와 미세먼지에 고통받고 있는 이들 앞에서 5년 후, 10년 후를 얘기할 수는 없다. 당장 적용 가능한 현실적인 방안부터 도입해야 한다. 국내의 LPG 차는 지난 40여년간 달려온 LPG 택시를 통해 연료의 안전성과 운행의 안정성을 인정받았다. 전국에 2,000여개의 충전소가 이미 갖춰져 있다. 지금 당장 활용할 수 있는 대안이라는 말이다.

다행히 정부가 노후한 1톤 트럭을 친환경차로 바꿀 경우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주로 자영업자·소상공인들이 사용하는 생계형 차량인 1톤 트럭을 LPG 차로 교체해 미세먼지를 줄이고 보조금 정책으로 영세 자영업자의 부담도 줄이겠다는 것이다. 대기오염으로 인한 시민의 건강 피해가 큰 상황인 만큼 하루빨리 친환경 1톤 트럭을 구매할 수 있는 선택권을 주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