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비요금·최저임금 인상에…車보험료 3~4% 오를듯

정비요금 상승 및 최저임금 인상, 폭염 등의 여파로 자동차보험료가 연내 3~4% 정도 인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016년 이후 2년 만이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업계 1위 삼성화재를 비롯한 주요 손해보험사들은 올해 안에 자동차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인상 시기와 폭을 저울질하고 있다. 한 대형 손보사의 관계자는 “정비요금 인상, 손해율 악화, 최저임금 인상, 병원비 지급 증가 등 보험료 인상 요인들이 누적됐다”며 “우선 자동차 정비 수가 협의가 이달 중으로 마무리되면 정비요금 상승분을 반영한 자동차보험료 요율 검증을 보험개발원에 신청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이르면 오는 10월 정도로 예측하고 있다.

관련기사



보험 업계는 자동차보험이 물가지수에도 반영되는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만큼 반감 여론을 우려해 누가 인상에 첫 총대를 멜지 눈치 보기를 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보험료 인상이 부담스럽기는 하나 시장가격인 보험료 책정에 인위적으로 개입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이다. 자동차보험은 지난해 19년 만에 흑자를 기록하고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보험료 인하 릴레이가 이어졌는데 1년 만에 인상이 추진되는 것이다.

이번 보험료 인상 추진 배경에는 약 20%로 예상되는 정비요금 상승이 가장 직접적으로 작용했다. 국토교통부는 6월 적정 정비요금을 공표하면서 “국산차 수리비 증가로 2% 후반대의 자동차보험료 인상 요인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보험개발원 분석에 따르면 평균 2만5,100원인 정비 업체 공임이 2만9,994원으로 19.5% 오르고 이에 따라 보험금 지급이 연간 3,142억원 늘면 2.9%의 보험료 인상 요인이 생긴다. 최저임금 인상 후폭풍도 영향을 미쳤다. 올해 최저임금이 16.4% 오르면서 일용임금도 5.6% 인상됐다. 일용임금은 교통사고 때 자동차보험으로 지급되는 소득보상금(휴업손해·상실수익액 등)의 책정 기준이다. 여기에 사상 최악의 ‘폭염 변수’도 더해졌다. 차량 사고가 급증해 이미 6월 말 기준 80%대 중반을 기록한 손해율이 7월에는 90%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는 적정 손해율(77~78%)을 훌쩍 웃도는 수치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