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조선시대 서운관 천문기록 재조명

천문연, 국립과천과학관과 ‘서운관지’ 발간 200주년 기념 학술대회 개최

우리나라 천문기록은 신라시대 첨성대를 시작으로 고려시대 서운관, 조선시대 관상감으로 이어졌다. 이 기관들이 기록한 천문기록은 적어도 1만4,000여건 이상이며 아직도 해석과 발굴이 진행 중이다.

이중 조선시대 천문학과 표준시를 담당하였던 관상감에서 1818년 편찬한 ‘서운관지’는 관상감의 조직과 운영, 천문관측과 기기, 천문서적 등을 총망라한 천문학 역사서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은 국립과천과학관과 이달 9~10일 과천과학관 천체투영관에서 ‘서운관지 편찬 200주년 기념 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 6월 7일 국립과천과학관, 전북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이 참여한 ‘전통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협약식’의 첫 번째 협력 사업으로 한국천문연구원과 국립과천과학관이 공동으로 조선시대 천문학 성과를 재조명하는 자리다.


학술대회는 모두 4개의 세션으로 진행되며 ‘서운관지’ 연구를 포함해 천문기록 분석연구, 고천문 연구의 과학관에서 적용과 융합, 해시계의 연구와 교육 활용 등 14편의 다양한 연구주제로 구성했다.

관련기사



특히‘서운관지’를 편찬한 성주덕을 조명하고 조선의 첨성대를 소개한다. 천문기록에 대한 분석이나 해시계 및 고천문 관측기기의 최신 연구 성과도 함께 발표한다.

과천과학관에서는 전통과학관을 한국과학문명관으로 새롭게 바꾸는 계획을 발표하며 특별토론을 통해 고천문분야 연구 성과를 새로운 전시관에 접목시키는 방안을 논의한다.

천문연 김상혁 박사는 “세종시대에는 세계 최고 수준의 관측기기 개발과 천문관측을 통해 천문학을 발전시켰다”며 “조선후기 서운관지에 기술된 것처럼 천문학이 국가의 제도를 튼튼히 하는 기둥이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