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 중앙버스전용차로제(BRT), 시민이 직접 결정

가칭 BRT공론화위원회 구성 ‘공론화’…부산시, 결과 존중키로

부산시가 중앙버스전용차로제(BRT) 사업 추진 여부를 시민 공론화 과정을 통해 결정하기로 했다.

부산시는 시의회와 관련 학계, 시민사회가 추천한 인사들로 가칭 BRT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하고, 공론화 과정 전반에 대한 관리를 일임하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부산 BRT 사업은 올 1월에 내성교차로∼운촌삼거리 8.7㎞ 구간을 개통한 이후 “교통 혼잡 완화 효과가 미미하고 오히려 더 극심한 정체와 보행자 사고만 잦다”는 시민들의 불만 목소리가 커져 6월 20일 이후 공사가 잠정 중단된 상태이다. 중단된 곳은 해운대 운촌삼거리 ~ 중동지하차도(1.7km), 중앙대로 동래 ~ 서면(5.9km) 구간이다.


시민 공론화 결정을 주도한 이는 오거돈 시장이다. 오 시장은 “부산시의 중요 정책을 시민들의 숙의 과정인 공론화를 통해 결정한다는 진일보한 참여 민주주의 과정을 가짐으로써 시민이 주인인 민선 7기 시정 철학을 제대로 한번 실천한다는 의미가 크다”고 했다.

관련기사



부산시는 우선 시의회로부터 해양교통위원회 부위원장 2명을 추천받았으며, 시민으로부터 높은 지지를 받는 시민사회단체에서 교통, 여성, 경제·환경, 시민 생활 등 4개 분야에서 각 2명씩 8명을 추천받았다.

공론화 위원회의 전문성과 공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대한교통학회 부산울산경남지회의와 한국지방자치법학회의 추천을 받아 교통 전문가 2명과 법률 전문가 1명 등 총 13명으로 BRT 공론화위원회 위원을 최종 선정했다.

BRT 공론화위원회는 8일 첫 회의를 열어 위원회 체계를 갖추고, 앞으로의 숙의 절차와 방법, 시민참여단의 선발·운영, 공론화 과정의 공정한 관리, 시민소통 촉진 등 공론화 과정 전반에 대해 논의하며 본격 활동에 들어간다.

부산시는 “아무런 선입견 없이 결과를 열어 놓고 있으며, 공론화위원회가 어떤 결정을 내리든지 결과를 존중하고 전격 수용한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부산=장지승기자 jjs@sedaily.com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