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전당대회 '앙금'...암초만난 정동영 호(號)

유성엽 최경환, 노선과 전대 공정성 문제제기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가 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가 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우여곡절 끝에 돛을 올린 정동영 호(號)가 전당대회 과정에서 쌓인 앙금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8일 역류를 만난 모양새다.

당 대표 선거 과정에서 구축된 정동영 대 반(反) 정동영 구도가 새 지도부에서 그대로 이어지면 당의 쇄신 작업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새 지도부를 출범한 민주평화당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최고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를 진행했다.


정 신임 대표는 이 자리에서 “오늘 통일부를 방문해서 평화당의 평화 노선에 대해 얘기를 하려 한다”며 “어제 오늘 저는 앞으로 새 지도부는 민생노선, 정치개혁노선, 평화노선 세 가지 길을 굳건하게 걸어가면 반드시 국민들에게 인정받을 날이 올 것이라 믿는다”고 포부를 밝혔다. 정 대표는 취임 후 부산 한진중공업, 서울 종로구 서촌 본가궁중족발 등에서 민생 현장 행보를 이어왔다.



그러나 당권 경쟁자였던 유성엽·최경환 의원이 전당대회 과정에서 불거진 공정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면서 묘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유 의원은 “당의 진로 문제는 심사숙고해야 한다”며 “지금 정의당, 민주당 붙어있는데 지금 평화당 낄 자리가 없어 굳이 협곡에 목매달지 말고 광야로 나가야 한다. 이 문제 당 대표로 선택받아도 반드시 당내 공론화 과정 거치고 의원 총회 등 당 고문, 주요 인사들 포함해 심도 있는 논의해주길 당 대표에게 부탁드린다”고 포문을 열었다. 정 대표와 유 의원은 전당대회 과정에서 각각 ‘진보·개혁 노선’과 ‘탈이념 중도정당’이라는 당의 노선을 두고 대립해왔다.

최 의원도 “정 대표가 현장에 가겠다는 행보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현장은 좌우도 이념도 없다”면서도 “우리당의 시스템 구멍을 그냥 두고 갈 수 없다. 전대 문제 정치적 해결 사안은 해결하고 진상조사 필요한 부분은 진상조사 해야 한다. 도대체 몇백 명 당원이 투표를 못 한 것인가”라며 정 대표의 정통성을 비판했다. 한편 평화당은 중소기업·자영업자를 위해 갑질 근절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그 산하에 상가분쟁상담소를 설치한다. 문재인 정부 들어 악화 일로를 걷고 있는 경제정책을 바로잡기 위해 경제살리기특위도 조만간 구성할 방침이다.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