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1년 만에 열린 한국당 연석회의 “北석탄 국정조사 해야”

洪 체제서 중단됐던 ‘지도부-중진의원’ 회의 재개

김병준 “北 석탄 문제, 국가적 재앙 될 수도”

현실정책 주력·공천 시스템 변경·對與 투쟁 강화 등 논의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을 비롯한 비대위원-중진의원들이 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연석회의에 참석해 이야기하고 있다./연합뉴스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을 비롯한 비대위원-중진의원들이 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연석회의에 참석해 이야기하고 있다./연합뉴스



자유한국당이 8일 1년 만에 지도부-중진의원 연석회의를 열어 당의 진로를 논의했다. 참석 의원들은 최근 논란이 된 북한 석탄 반입 의혹에 대한 국정조사 추진으로 정부를 압박함과 동시에 전기요금 누진제 폐지, 최저임금 수정 등 국민 피부에 와 닿을 ‘현실 정책’을 선제적으로 마련해 저조한 지지율을 끌어올려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실질적인 당 혁신을 위해 김병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에서 공천제도를 손봐달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4선 이상의 중진의원과 지도부가 참여하는 연석회의는 홍준표 대표 체제이던 지난해 8월 이후 중단됐다. 중진 의원들은 회의 재개 요구를 거부하는 홍 전 대표와 각을 세우기도 했다.

김병준 위원장 주재로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연석회의에서는 북한산 석탄 반입 의혹에 대한 국정조사 필요성이 집중 논의됐다. 김 위원장은 “북한과의 거래 부분에서 국가적 차원의 모니터링 시스템이 없었던 것 같다”면서 “국가가 있어야 할 곳에는 없고, 없어도 될 곳에는 있는 대표적인 일 아닌가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번 문제는) 공공기관, 기업들과 정부도 관련돼 있어 크게 봐서는 국민 전체가 관련된 사항”이라며 “아차 하는 순간에 잘못하면 국가적 재앙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성태 원내대표도 의심 선박이 수십차례 한국에 드나든 것을 언급하며 “문재인 정부가 공범이거나 눈 뜬 장님이거나 둘 중 하나”라며 화력을 보탰고, 심재철·정우택·유기준 의원도 당 차원의 국정조사 및 결의안 채택 추진을 촉구했다. 나경원 의원은 러시아산 석탄의 수입을 전면 금지하거나 (반입이 의심되는) 특정 항을 거친 석탄 유입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여(對與) 가치투쟁보다 현실 정책 경쟁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문도 이어졌다. 유기준 의원은 “최근 여론조사에서 우리당 지지율이 3위로까지 밀렸다”며 “국민의 지지를 끌어가는 정당이 되는 게 시급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김 위원장이 정치권에 던진 ‘국가주의’ 논쟁이 거대담론인 만큼 일반 국민 피부에 와 닿을 이슈는 아니라는 게 유 의원의 판단이다. 그는 “문재인 정부의 경제 실책이나 안보 무능에 대해 한국당이 적절한 대응을 하고는 있는지 짚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경태 의원 역시 최근 당정이 7~8월 두 달 간 전기요금 누진세를 한시적으로 완화하기로 한 것을 겨냥해 “정부 여당이 전기요금 2만 원을 깎아주는 파렴치한 행동에 국민이 분노한다”며 누진제 즉각 폐지에 앞장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관련기사



한편 비대위 체제에서 공천 제도를 손봐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군현 의원은 “2020년 총선에 임박해 관련 원칙을 정하기란 사실상 어려워 지금이 적기”라며 하향식 공천을 제안했다. 그는 “위에서 자기 사람 심기에 몰두한 게 한국당이 이렇게 어렵게 된 큰 이유”라며 “이번 비대위에서 당헌 당규를 바꿔 공천을 합리적인 방향으로 제도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정진석 의원은 ‘제1야당’의 야성을 촉구했다. 전열을 재정비해 정부 여당 견제에 힘을 모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우리 의원 중 (정부 여당에 대한) 비판은 단 한마디도 안 하면서 당 문제에는 청산유수인 분들이 있다”며 “112명 전원이 전원 공격수로 전선으로 뛰어들어야 한다. 이 점이 가치 논쟁의 후순위로 밀려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