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철도노조 체포방해’ 전교조 前 위원장 2심 무죄…헌재 결정 반영

체포과정서 영장 없이 주거수색’ 위헌결정

법원 "경찰 수색, 적법하지 않다”




2013년 말 철도노조 파업 당시 경찰의 노조 지도부 체포를 방해한 혐의로 기소된 김정훈(54) 전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위원장이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서울고법 형사1부(김인겸 부장판사)는 8일 특수공무집행방해치상 혐의로 기소된 김 전 위원장에게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1심을 파기하고 무죄를 선고했다.

김 전 위원장은 지난 2013년 경찰이 체포 영장 집행을 위해 철도노조 지도부 다수가 은신한 것으로 알려졌던 경향신문사 건물로 진입작전을 벌이자 이를 저지하기 위해 경찰관에게 깨진 유리조각을 던진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1심은 당시 경찰이 체포대상자인 철도노조 지도부를 체포하기 위해 수색을 벌인 것은 형사소송법에 근거한 적법한 행위라고 판단했다.

관련기사



김 전 위원장은 애초 경찰의 사무실 수색이 헌법상 영장주의를 위반한 불법수색이었다며 법원에 위헌법률심판 제청을 신청했다. 2016년 3월 서울고법이 이를 받아들여 헌법재판소에 형사소송법 216조에 대한 위헌법률심판을 제청했다. 형소법 216조는 검사나 경찰이 범인을 체포하거나 구속하는 경우 영장 없이 타인의 주거나 건물을 압수수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해 헌재는 지난 4월 “해당 조항은 수색에 앞서 영장을 발부받기 어려운 긴급한 사정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에도 영장 없이 피의자 수색을 할 수 있다는 것으로 헌법상 영장주의 예외 요건을 벗어난다”며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헌법불합치 결정했다.

항소심 재판부는 “영장주의 원칙, 관련 형소법 해석, 헌재 결정 취지 등을 종합하면 이 사건 당시 경찰이 수색 영장을 별도로 받지 않은 채 체포 영장에 의해서만 이 사건 범죄 여부를 수색하려 한 행위는 적법한 공무집행이라고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선고가 끝난 후 김 전 위원장은 “경찰의 민주노총 건물에 대한 침탈이 불법적이었음을 오늘 판결로 확인했고, 검찰과 경찰이 체포 영장만 갖고 불법적 압수수색을 자행해온 관행에 제동을 걸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백주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