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환경미화원 야간근무 줄인다

정부 근로환경 개선안 마련

위탁근로자 임금도 현실화

최근 환경미화원의 안전사고가 잇따르자 정부는 야간 근무를 줄이기로 했다. 위탁업체에 고용된 환경미화원의 기본급과 복리후생비도 현실화한다.

정부는 8일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환경미화원 근로환경 개선방안을 마련했다. 개선안에 따르면 정부는 환경미화원 사고를 줄이기 위해 오전6시부터 시작하는 주간 근무 비중을 올해 38% 수준에서 내년에는 50%까지 늘린다.


환경미화원들은 잦은 야간·새벽 근무로 어두운 작업환경에서 날카로운 물건에 베이거나 찔리는 사고를 자주 겪는데다 피로 누적으로 위험대처 능력이 떨어지는 고충을 토로해왔다. 환경미화원의 평균 재해율은 1.35%로 일반 근로자 0.62%의 두 배를 웃돈다.

관련기사



정부는 또 직영근로자와 위탁근로자 간 차별이 없도록 위탁근로자 임금과 복리후생비를 현실화한다. 현재 환경미화원 4만3,000명의 56.2%인 2만4,300명이 민간 위탁 형태로 일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에 직영 형태로 고용된 환경미화원 월급은 평균 424만원이지만 위탁근로자 월급은 평균 363만원이다.

행안부의 한 관계자는 “관계부처와 지자체·환경미화원·업체 등이 참여하는 ‘근무환경 개선 협의체’를 오는 9월 중 구성해 환경미화원 고용안정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