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광역버스도 준공영제 도입하라”…인천 광역버스 업체 소속 근로자 인천시에 촉구

인천 광역버스 업체들에 이어 업체소속 근로자들도 경영난을 호소하며 인천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을 인천시에 촉구했다.

인천 광역버스 업체 근로자 40여 명은 10일 오전 인천시청 앞에서 집회를 갖고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을 시 당국에 촉구했다.


이들은 광역버스 10여대를 인천시청 앞에 세워두고 ‘지원 없는 광역버스 기사 없이 못 굴린다’, ‘광역버스 기사도 사람답게 살고 싶다’ 등의 문구가 적힌 플래카드를 들고 구호를 외쳤다.

이들은 집회에서 “올해 급격한 최저 시급 인상과 운수종사자 휴게시간 보장법 신설로 운송 수지 적자는 계속되고 있다”며 “이 때문에 광역버스를 운영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주장했다.

이어 “인천 시내버스에는 준공영제가 도입됐지만, 광역버스는 제외된 탓에 시내버스와 광역버스 근로자 간 처우 격차는 더욱 벌어지고 있다”며 “인천시가 재정지원을 하지 않는다면 버스운행을 더는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인천 광역버스 6개 업체는 오는 21일 첫차부터 광역버스 19개 노선 버스 259대의 운행을 중단하겠다며 인천시에 폐선 신고를 했다.

관련기사



해당 버스는 1000·1100·1200·1300·9100번 등 대부분 인천과 서울 신촌·서울역·강남을 잇는 노선들이다.

이들 노선이 폐선 되면 인천시가 다른 운송사업자를 구할 때까지 인천 광역버스의 75.3%의 발이 묶이게 돼 인천에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의 불편이 예상된다.

인천시 관계자는 “광역버스 업체에 필요한 재정은 약 23억원으로 시 예산만으로 이를 충당하기에는 부담이 큰 게 사실”이라며 “내부적으로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버스 준공영제는 버스 업체들의 수입금을 공동관리위원회가 관리해 적자가 나면 지방자치단체가 보충해 주고, 흑자가 나면 버스 관련 인프라 확충에 재투자하는 제도다.

인천시는 대중교통 활성화와 근로자 처우개선을 위해 2009년 8월 인천 시내버스에 준공영제를 도입했다. 그러나 광역버스는 대상에서 제외됐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