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73주년 광복절 맞아 불붙은 건국절 논쟁 '1919년 vs 1948년'

/사진=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73주년 광복절을 맞은 가운데 또 다시 건국절 논쟁에 불이 붙었다.

광복절은 1945년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광복된 것을 기념하고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경축하는 국경일이다. 임시정부 수립일인 1919년 4월13일을 건국일로 봐야 한다는 진보진영 측 주장과 이승만 정부가 출범한 1948년 8월15일이라는 보수진영 측 주장이 엇갈린다.


진보진영은 지금까지 우리 헌법이 상해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는 점에서 1919년 건국론을 지지한다.

반면 보수진영은 국가의 3요소인 국민과 영토, 주권을 모두 갖춘 현대국가의 모습인 이승만 전 대통령의 정부수립을 건국으로 보고 있다.


건국절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이명박 정부 이후 이를 놓고 진보와 보수가 극심하게 대립해 왔다.



2006년 이영훈 교수가 동아일보에 ‘우리도 건국절을 만들자’라는 칼럼을 올리면서 시작된 논란은 2007년 9월 한나라당의 정갑윤 의원이 광복절을 건국절로 변경하는 국경일 법안을 제출하면서 수면 위로 떠올랐고, 이명박 정부 첫해인 2008년 광복절 행사 명칭을 ‘대한민국 건국 60주년 및 광복 63주년 경축식’으로 추진하면서 격화됐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지난 2016년 광복절 경축사에서도 “광복 71주년, 건국 68주년”을 언급해 1948년 건국 주장을 공개적으로 지지했다.

이에 반해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제72주년 광복절 기념식 경축사에서 “2019년은 대한민국 건국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해”라며 1919년을 건국일로 강조한 바 있다.

진보진영 측 주장에 따라 내년이 건국 100주년이기 때문에 건국절을 둘러싼 진보와 보수 간의 갈등은 더욱 심화될 예정이다.

정진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