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백브리핑] 일본 최강관청 재무성...30대 사무직들 이직 붐이라는데

일돈 도쿄 거리를 걷고 있는 직장인들/AP연합뉴스일돈 도쿄 거리를 걷고 있는 직장인들/AP연합뉴스



일본 공무원 집단 중 최고 엘리트로 불리는 재무성에 이직 바람이 부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요미우리신문은 최근 30대 공무원들을 중심으로 암호화폐와 외국계 기업 등으로의 이직이 활발하다고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25~39세 일반 행정사무직의 퇴직자 수가 지난 2011년 1,651명에서 2016년에는 1,685명으로 늘었다. 예산편성과 세법개정 권한 등 국가 경제를 운용하는 실권을 쥐고 있어 ‘최강 관청’으로 불리던 재무성의 분위기가 확연히 달라진 것이다. 신문은 “재무성에서 퇴직해 민간기업으로 이직한 이들이 정례 모임을 갖고 민간기업에 대한 정보교환을 시작하면서 모임의 규모가 커졌다”고 전했다.

또 과거 재무관료의 이직은 학자나 변호사, 정계 진출이 대부분이었지만 최근에는 금융과 정보기술(IT)을 결합한 핀테크 기업, 암호화폐 기업, 외국계 컨설팅 회사, 아마존재팬 등으로 매우 다양해지는 추세라고 신문은 덧붙였다.

■‘공무원의 꽃’ 이직 이유는


격무 시달리지만 민간 분야에 비해 급여 낮아

관련기사



인사적체도 심한데다 권한도 줄어 사기 저하



한때 일본에서 ‘공무원의 꽃’으로 불렸던 재무성 관료들의 민간 이직이 활발해지는 이유는 격무에 비해 낮은 급여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은 “관료는 심야근무가 일상이지만 급여 수준은 대기업과 비교해 높다고 할 수 없다”고 전했다. 한 기관에 따르면 재무성 입사 1년차 관료는 매월 100시간의 초과근무를 하지만 연간 수입이 600만엔(약 6,113만원) 미만으로 나타났다.

또 민간 부문으로 권한이 많이 이양된데다 인사적체도 심해 승진을 하더라도 고위공무원으로서의 권한이 많지 않은 점 또한 관료들의 사기를 떨어뜨리는 요인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신문은 “일례로 과장보좌는 현장 지휘관으로 과거에는 큰 재량을 갖고 있었다”면서 “지금은 과거에 계장이 하던 업무를 과장보좌가 하고 있다”고 전했다. 과장보좌에서 과장으로 승진하기까지 10년 이상 걸리는 일도 흔해졌다.

앞서 인사원이 신입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정년까지 공무원을 계속하고 싶다”는 응답은 46%로 전년 대비 8%포인트 줄었다. 또 “언젠가 전직할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한 직원도 32%에 달했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