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BMW 사태에도 독일정부 여전히 관심 미흡…움직임 없어

경제지 위주로 한국서의 운행금지 보도

BMW가 폭파한 사진이다.=연합뉴스 자료사진BMW가 폭파한 사진이다.=연합뉴스 자료사진



한국에서 긴급 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BMW 차량에 대한 운행정지 처분이 16일부터 내려진 가운데 독일에서는 BMW의 결함 문제가 여전히 크게 주목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독일에서는 한데스블라트 등 경제신문과 자동차 전문 매체 등을 위주로 운행정지 처분에 대한 보도가 실렸다.


한국에서의 잇단 BMW 화재 사건과 관련해 독일 언론이 거의 관심을 두지 않은 것과 비교해서는 보도가 많은 편이다. 그러나 대체로 주요 팩트만을 간략히 전달해 한국에서 느끼는 사태의 심각성을 전달하지 못한 느낌이다.

독일 방송시장에서 영향력이 큰 공영방송 ARD와 ZDF 등은 BMW가 유럽에서 한국에서와 같은 결함으로 32만4,000대를 리콜하기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이번 사태를 다루고 있지 않다. 다만, 유럽에서의 리콜 소식을 단독 보도했던 일간 프랑크푸르터알게마이네차이퉁은 기사에서 독일에서의 리콜 대상인 9만6,300에 대해선 운행금지 등의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주독 한국대사관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독일 지사 등에서도 독일 정부 및 산업계의 반응을 면밀히 살펴보고 있지만 특별한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한 상황이다.

관련기사



독일 정부는 자동차 기업 폴크스바겐이 배출가스 조작 사건인 이른바 ‘디젤 스캔들’로 2015년 말 한국에서 2년간 판매 정지를 받았을 때 한국 정부 측에 항의 표시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주로 BMW 코리아를 통해 이번 사태에 대응해 온 BMW 본사 측은 한국에서의 운행금지 조치와 관련해 언론을 통해 언급을 하는 양상이다.

BMW 본사 대변인이 지난 14일 신화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독일에서는 운행금지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면서 한국에서의 운전 습관과 교통 상황 등이 화재의 원인일 수 있다고 주장해 한국 피해자들의 원성을 샀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이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