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서울 집값 상승폭 7개월來 최대]'경전철'양천구 0.56%·'통개발' 영등포0.51%급등

朴시장 발언에 외곽까지 들썩

강남권 3.3㎡당 1억 시대 성큼

2415A02 8월3주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약 7개월 만에 최대치를 보인 것은 집값 상승세가 서울 전 지역으로 확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강북권에서는 ‘갭 메우기’ 현상으로 강세가 이어지는데다 강남권은 ‘똘똘한 한 채’ 선호로 아파트값이 떨어지지 않는 모습이다. 여기에 박원순 서울시장이 최근 개발 계획을 연달아 꺼내놓자 그간 주목받지 못하던 곳까지 상승 대열에 올라타 오름폭이 커지고 있다.

23일 한국감정원 주간조사에서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0.37%로 집계되면서 지난 1월 넷째 주(0.38%)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정부가 지난해 8·2부동산대책 등으로 다주택자를 압박하자 이른바 ‘똘똘한 한 채’에 집중하려는 수요가 늘면서 올해 초 강남권을 비롯한 서울 요지의 아파트값이 급등세를 보였다. 이에 1월 셋째 주(1월15일) 주간 상승률이 0.39%를 기록하면서 올해 최고 수준을 보였고 1월 넷째 주 역시 0.38%로 강세를 이어갔다. 즉 이날 감정원이 발표한 서울의 7월 셋째 주 상승률 수치(0.37%)가 올해 최고치에 근접한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다만 최근의 상황이 올해 초와 다른 것은 강북 대부분 지역까지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올 4월 시행된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로 강남권 시장이 잠시 주춤한 사이 이와 격차를 줄이려는 ‘키 맞추기’ 움직임이 강북권에서 강하게 일고 있다는 분석이다.

관련기사



강남권 집값이 쉽게 떨어지지 않는 것도 서울 상승률을 끌어올리는 이유 중 하나다. 실제 최근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전용면적 84㎡(34평형)는 최근 30억원에 손바뀜되면서 강남 집값이 3.3㎡(1평)당 1억원 시대에 가까워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강남구 압구정동, 송파구 잠실동 등에서도 직전 최고가를 넘어서는 거래들이 속속 진행된다는 게 현장의 설명이다.

이런 상황에서 박 시장이 개발 계획을 꺼내놓은 것도 외곽 지역 집값에 자극을 줬다는 분석이 많다. 이른바 ‘박원순 효과’다. 이날 감정원 조사에서는 박 시장의 계획에 따라 경전철 목동선이 지나게 될 양천구가 0.56% 올라 서울에서 두 번째로 상승률이 높았고 ‘통개발’ 예정인 영등포구도 0.51%를 기록해 집값이 많이 오른 곳으로 나타났다. 면목선이 계획될 중랑구도 이번주 0.15%의 상승률을 보여 지난주 0.05%보다 수치가 3배가량 커졌고 강북구(0.34%), 도봉구(0.15%) 등도 이전에 드물었던 강세를 보였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시중의 유동자금이 많은데다 수요자들이 심리적으로 자극을 받는 측면도 서울 집값을 올리는 이유”라면서 “올가을까지 현재의 강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완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