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기업-사회 선순환 관계라야 인본주의 발전"

이민화 창조경제硏 이사장

경영자총협회포럼서 강조

이민화 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



“기업과 사회를 갈등이 아닌 선순환 관계로 보기 시작하면 새로운 자본주의, 즉 인본주의로 발전하게 됩니다.”

이민화(사진) 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KAIST 겸임교수)이 23일 오전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한국경영자총협회 포럼의 ‘선순환 기업가정신’이라는 주제 발표에서 혁신의 리더십은 가치 창출과 분배의 선순환에서 나온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갈 가장 중요한 요소로 혁신의 리더십을 가진 기업가정신을 꼽으며 “기업가정신이 살지 않으면 산업 발전, 공공·사회·학교 혁신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인 효율과 혁신의 선순환을 강조했다. 이 이사장은 “혁신은 돈을 쓰고 미래의 불확실한 이익을 가져오는 것이고 효율은 이를 유지하는 기운”이라며 “두 가지가 순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 이사장은 또 “산업은 생산과 소비의 순환 과정이고 기술이 생산을 뒷받침하고 욕망이 소비를 뒷받침하기 때문에 기술과 욕망의 관점에서 산업을 봐야 하는데 우리는 기술만 보고 있다”고 지적한 뒤 “산업혁명이란 기술과 욕망이 공진화(coevolution)하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면서 “4차 산업혁명에서 가장 중요한 메시지는 욕망에 대한 이해가 더 중요한 시대가 도래했다는 점”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선순환 기업가정신을 바탕으로 하는 한국형 기업가정신을 ‘ㄲ’으로 표현하며 “기업가들이 ‘꿈(목표)’과 ‘꾀(창조성)’ ‘깡(도전정신)’이 있으면 기업의 시작이 가능하고 성공하기 위해서는 ‘끼(패션)’가 있어야 하며 ‘끈(네트워크)’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민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