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차, 2·3차 협력사 상생기금 500억 집행완료

1,290여곳에 평균 4,000만원 지원

현대자동차그룹이 2·3차 중소 부품 협력사의 근로자 임금 지원을 위해 출연한 ‘상생협력기금’ 500억원을 상반기 중 모두 집행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005380)그룹은 올 상반기 1,290여개 2·3차 부품 협력사에 평균 4,000만원가량을 지원해 올해 새로 출연한 500억원 규모의 상생협력기금을 모두 소진했다. 상생협력기금은 지난해 하반기에 현대차그룹이 1차 협력사 외에 5,000곳에 달하는 2·3차 협력사로 지원 대상을 대폭 넓힌 ‘선순환형 동반성장’ 5대 전략을 발표하고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진행한 지원사업 중 하나로 대·중·소협력재단,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과 함께 기업 규모, 재무 상태 등 합리적 기준에 따른 공정한 선발 과정을 거쳐 상생협력기금을 집행했다. 현대차그룹은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 보호무역주의가 확산하면서 자동차 산업 전반에 위기감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경영 어려움을 호소하는 부품 협력사를 돕기 위해 상생협력기금을 조성해 지원하고 있다. 특히 현대차그룹과 직접 거래관계가 없는 2·3차 협력사까지 지원 범위를 확대하는 등 동반성장 문화를 확산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상생협력기금 외에도 2·3차 중소 부품 협력사를 대상으로 1,000억원 규모의 ‘상생 펀드’를 신규 조성하고 운영자금 지원을 위한 저금리 대출 프로그램도 시행하고 있다. 시중금리보다 약 2%포인트 낮은 금리로 대출되는 상생 펀드는 올 들어 약 600억원이 대출됐고 앞으로 잔여 금액도 심사를 거쳐 집행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특히 일부 1차 협력사의 2·3차 협력사에 대한 납품단가 인하 강요 등 불공정거래 관행에 대해서도 적절한 계도와 교육 및 홍보 활동을 병행해나가기로 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2만~3만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자동차는 부품 경쟁력이 곧 완성차의 경쟁력으로 2·3차 협력사까지 상생하는 생태계 구축이 글로벌 경쟁력 확보의 토대”라며 “경영 간섭 행위에 해당하지 않는 범위에서 협력사 간의 동반성장 문화 정착에 지속해서 관심을 기울여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