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시·항만공사, 도시-항만 정책 연계 강화한다

5일 고위급 정책협의회 개최…부산항 미세먼지 배출량 제로화 추진

부산세계박람회 북항 개최, 해양·항만산업 육성기구 설립 등 추진

부산시와 부산항만공사가 2022년까지 부산항 미세먼지 배출량 제로(0)화를 추진한다. 2030 부산세계박람회를 북항에서 열고 해양·항만산업 육성기구도 설립해 연관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기로 했다.

부산시는 5일 시청에서 부산항만공사와 정책협의회를 열고 이같이 도시정책과 항만정책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협의회는 오거돈 부산시장과 남기찬 부산항만공사 사장을 비롯한 주요간부 등이 참석해 부산시정과 부산항의 발전을 위한 여러 현안사업 추진에 힘을 모으는데 뜻을 함께했다.


먼저 항만분야 미세먼지 감축을 위한 그린(Green) 항만 정책을 펼친다. 2022년까지 항만구역 미세먼지 배출량 ‘0’(zero)을 달성하기로 합의한 것인데 이를 위해 부산항만공사는 2022년까지 선박육상전원공급시설(AMP)을 설치하고 항만 하역장비인 야드트랙터의 LNG 연료 전환 등을 완료하기로 했다. 부산시는 해수부와 항만 미세먼지 감축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 등을 통해 국비 지원 확대를 요청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북항 재개발 1단계 사업 현안인 제1부두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는 제1부두 원형을 보존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해양수산부와 문화재청 등 관련 기관과 협의한 뒤 사업 방향을 조속히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2030 부산세계박람회는 북항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현재 진행 중인 부산발전연구원과 산업연구원의 2030 부산세계박람회 북항 일원 개최방안 공동연구에 부산항만공사가 참여, 부지확보와 입지활용 논리 등 북항 개최안의 타당성 확보를 적극 지원하기로 한 것이다.

항만물류분야 남북 협력 및 북방경제협력사업 추진에 대한 필요성에도 합의했다. 부산시와 부산항만공사는 향후 북측 항만물류 분야 인력 양성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무역사무소 공동 개소·운영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해양·항만 분야 인력양성, 기업지원, 연구개발(R&D)기술개발 및 육성기금 등을 전담하는 부산 해양·항만산업 육성기구(가칭)도 설립한다. 지역의 핵심 뿌리산업인 해운·항만연관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해양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다.

이밖에 기장에서 강서까지 부산의 연안조건에 맞는 연안정책도 수립할 계획이다. 오 시장은 “앞으로 부산시와 부산항만공사가 참여하는 정책협의회는 현안에 대한 문제 해결 중심으로 운영할 것”이라며 “협의회를 통해 결정된 사안은 부산시가 주도해 정부, 국회, 관계기관과 협의를 추진해 나갈 것”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