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사기 수법의 진화로 올 상반기 피해액이 지난해보다 70% 넘게 급증했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1천802억원으로 작년 상반기 보다 73.7%(764억원) 증가했다.
피해자는 2만1천6명으로 같은 기간보다 56.4%(7천573명) 늘었다. 매일 116명이 10억원(1인 평균 860만원) 가량의 전화금융사기를 당하는 셈이다.
대포통장(보이스피싱에 이용되어 지급정지된 계좌)은 2만6천851건으로 27.8%(5천839건)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대출빙자형이 1천274억원(70.7%)으로 가장 많았고 정부기관 사칭형이 528억원(29.3%)로 뒬ㄹ 이었다.
대출빙자형은 고금리 대출자에게 전화해 저금리 대출로 갈아탈 수 있다고 접근하는 방식이다.
피해자가 관심을 보이면 기존 대출금을 일부 상환해야 신용도가 올라가 저금리대출이 가능하다며 자신들의 계좌로 입금하도록 유도한다.
피해자는 40∼50대 남성이 494억원(39.3%)으로 가장 많았고, 40∼50대 여성이 351억원(27.9%)이었다.
정부기관 사칭형은 자신이 검찰 수사관인데 피해자 명의가 사기 사건에 도용됐다고 속이며 접근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이메일로 가짜 사건 공문과 가짜 신분증 사본을 보내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한다.
이어 금감원 1332로 전화해 피해 금액을 확인하라고 하는데, 전화하면 악성 앱을 통해 금감원을 사칭한 다른 사기범에게 연결된다.
이런 방식으로 신뢰를 얻은 뒤 사기 사건과 관련 있는지 계좌 조사가 필요하다며 돈을 입금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정부기관 사칭형 피해자는 20∼30대 여성 비중이 34.0%로 가장 높았고 60대 이상 고령층도 31.6%였다.
금감원 관계자는 “고금리 대출을 받은 사람들의 정보를 가지고 저금리로 바꿔주겠다며 접근하는 데 속는 경우가 많다”며 “보이스피싱 사기단의 수법이 갈수록 진화해 피해자도 늘고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