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녹십자엠에스, 연 410만 혈액투석액 생산 가능한 진천공장 착공

기존 용인공장 혈액투석액 생산량 3배 규모

수익성 개선·혈액투석액 수급 안정화 기대

안은억(오른쪽 일곱 번째) GC녹십자엠에스 대표와 이영찬(〃 여덟 번째) GC녹십자이엠 대표가  지난 11일  충북 진천·음성 혁신단지에서 열린 GC녹십자엠에스 혈액투석액 플랜트 기공식에서 임직원들과 함께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사진제공=GC녹십자엠에스안은억(오른쪽 일곱 번째) GC녹십자엠에스 대표와 이영찬(〃 여덟 번째) GC녹십자이엠 대표가 지난 11일 충북 진천·음성 혁신단지에서 열린 GC녹십자엠에스 혈액투석액 플랜트 기공식에서 임직원들과 함께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사진제공=GC녹십자엠에스



국내 최대규모의 혈액투석액 플랜트가 본격적인 착공에 들어간다.

GC녹십자엠에스(142280)는 지난 11일 충북 진천·음성 혁신단지에서 혈액투석액 플랜트의 기공식을 열고 본격적인 착공에 들어갔다고 12일 밝혔다.


GC녹십자엠에스의 혈액투석액 플랜트는 약 2만2,000㎡ 대지에 국내 최대규모로 지어진다. GC녹십자엠에스는 내년 상반기 중 플랜트 건립을 마무리하고, 설비설치와 검증, 시생산 등을 거쳐 오는 2020년부터 본격적인 제품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 플랜트에서는 기존 GC녹십자엠에스 용인공장 생산규모의 3배에 달하는 연 410만개의 혈액투석액이 생산된다.

관련기사



GC녹십자엠에스는 플랜트가 완성되면 혈액투석액 사업의 수익성이 더욱 개선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GC녹십자엠에스는 지난해 보령제약과 10년간 혈액투석액 장기공급계약을 체결했으며, 현재 국내 전체 혈액투석액 생산량의 45% 가량을 도맡아 제조하고 있다.

국내 혈액투석액 시장 규모는 매년 7~9%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플랜트가 가동을 개시하면 국내 혈액투석액의 수급 안정화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안은억 GC녹십자엠에스 대표는 “진천·음성 혁신단지에 들어설 플랜트는 국내 최대규모 혈액투석액 자동화 생산시설”이라며 “GC녹십자엠에스는 앞으로도 혈액투석액 생산에 있어서 국내 1위 기업의 명성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