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기업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던 금융당국의 감리가 사실상 마무리된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당국은 감리 대상 기업들의 연구개발(R&D) 비용 자산화 처리 적정성에 대한 사실관계 확인을 마치고 해당 기업들에 금융감독원의 의견을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국계 증권사를 중심으로 일부 바이오 상장사의 R&D 비용 자산화 비중이 70%를 초과해 글로벌 평균보다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지난 4월 시작된 조사가 5개월 만에 일단락된 셈이다.
반년 가까이 끌었던 제약·바이오 기업들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됨에 따라 이들 업종의 불확실성이 줄어들면서 기업들은 한숨을 돌리게 됐다. 제재 여부와 수위는 연구개발비 자산화 처리 감독기준 발표 이후에 확정될 것으로 보이지만 이번 감리가 제재 목적으로 시작되지 않은 만큼 처벌받는 기업 수는 많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18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최근 감리 대상인 제약·바이오 상장기업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했다. 금감원은 R&D 비용 자산화 처리와 관련한 감독기준이 마련된 후 이달 내 제재 여부와 수위를 결정할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감리 대상 기업들에 대한 사실 파악이 끝났다”며 “제재 여부와 수위는 감독기준이 정해져야 가능하다”고 밝혔다.
조사가 마무리되면서 관심은 제재 여부에 모아진다. 제재 시 기업에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라 제약·바이오주 반등 흐름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금감원이 기업들의 회계처리 가부를 가리기 위한 목적보다는 글로벌 스탠더드와 비교해 우리나라에서 어느 정도 자산화하는 게 맞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감리를 진행한 만큼 제재를 받는 기업들의 수는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제약·바이오 기업 회계처리 투명성 간담회에서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특수성을 감안하겠다고 밝힌 점도 제재 최소화 전망에 힘을 실어준다. 김 부위원장은 간담회에서 감독 방식을 제재 목적이 아닌 ‘대화와 지도’로 바꿔나가겠다고 말했다. 고의로 회계처리를 위반한 경우가 아니면 수정 등을 권고해 기업들의 제재 리스크를 줄이겠다는 것이다.
제재 리스크 완화 기대감뿐 아니라 관련 기업들의 펀더멘털 개선이 유효하다는 점도 호재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최근 미국 바이오 회사인 이뮤노메딕스와 345억원 규모의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했으며 한미약품(128940)도 현재 개발하고 있는 항암제 포지오티닙의 긍정적인 2상 중간결과를 발표하며 임상 성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