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에 이어 삼성전기, 삼성화재의 삼성물산 지분 처분은 지배구조개편을 위한 순환출자의 해소 과정이다. 삼성생명이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 처분이 핵심인 삼성의 지배구조 개편을 위한 준비 단계인 셈이다. 특히 문재인 정부가 재벌개혁 과제로 순환출자 해소를 꼽았던 만큼 정부에 성의를 보이기에도 이 카드는 적절했다. 이번 블록 딜이 지난 18일 방북했던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돌아온 20일 이뤄져 시점도 좋았다는 게 시장의 평가다.
이번에 해소한 순환 출자 고리는 총 4개다. 지난 4월 삼성SDI가 보유 중이던 삼성물산 지분 404만2,758만주를 5,599억원에 매각 완료하면서 남은 것들이다. 재계는 삼성이 정공법을 선택했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시장에서는 그간 삼성물산이 자사주 형태로 삼성화재와 삼성전기의 지분을 사들이거나 이 부회장이 직접 인수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적지 않았다. 삼성의 사실상 지주회사 격인 삼성물산에 대한 지배력 약화를 묵인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하지만 삼성은 주식시장을 통해 삼성물산 지분을 전부 털었다. 삼성으로서는 불필요한 오해를 살 수 있는 내부 계열사와 오너와의 거래를 피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에 처분된 삼성물산 지분이 3.98%로 크지 않은 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이 부회장과 특수관계인의 보유 지분은 32% 정도로 경영권 유지에 큰 부담이 없다. 이런 판단으로 시간 외 대량매매를 단행했다는 게 시장 안팎의 관측이다.
삼성으로서는 이번 매각으로 지배구조 개편에 시동을 걸었다는 진단이 나온다. 삼성은 다른 그룹에 비해 지배구조 개편이 지지부진하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그도 그럴 것이 삼성의 지배구조 개편은 법 개정 작업으로 난마처럼 꼬여 있다. 삼성의 지배구조 개편과 맞물려 있는 관련법만 해도 이미 시행 중인 금융산업구조개선법(금산법)을 비롯해 공정거래법 개정안, 국회에 계류 중인 보험업법 개정안, 내년 7월 도입 예정인 금융계열사 통합 감독 등 하나둘이 아니다. 그 결과 삼성 보험 계열사의 전자 지분 처분은 해법을 찾기도 힘든 상황이다. 최근에는 공정거래법 개정으로 지주사 전환 가능성마저 사실상 막혔다. 삼성 입장에서는 발목이 단단히 잡힌 셈인데, 우선 순환출자 고리 해소부터 마무리해 여론을 달래고자 했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이 부회장의 최종심이 내년으로 다가 온 만큼 서둘러 액션을 취해야 한다는 점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재계의 한 고위 관계자는 “지배구조 개편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은 마당에 삼성이 가능한 것부터 손을 댄 것”이라며 “이 정부와의 관계를 계속 우호적으로 이어가고자 하는 생각도 있지 않았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번 매각을 통해 6,425억원의 자금을 확보한 삼성전기는 투자와 재무구조 개선에 가속도를 낼 전망이다. 공교롭게도 이날 삼성전기는 이사회를 열었다. 중국 톈진 생산법인에 전장용 MLCC 공장을 만들고 시설투자 등에 총 5,733억 원을 투자하는 내용을 결의했는데, 이번 매각 자금이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화재는 자산 운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주력할 전망이다. 삼성의 순환출자 고리 해소는 다른 그룹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최근 기업들은 지배구조 개편 작업에 박차를 가해왔다. 당장 LG, 롯데만 해도 공익법인 이사장에 오너 대신 민간인을 앉혔고, LG는 규제 강화가 임박한 일감 몰아주기와 관련해 비상장 계열사인 서브원의 지분 매각에 나섰다. 이런 흐름에 삼성마저 합류하면서 현대차 등 다른 그룹의 고민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