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TV·방송

‘PD수첩’, 11시간 동안 병원 떠돌다 사망한 ‘민건이 사건’ 조명

안타깝게 숨진 2살인 민건이를 치료할 의사는 정말 없었을까.




2일 방송된 MBC ‘PD수첩’에서는 병원 측에서 치료를 미루는 동안 방치되어 결국 죽음까지 맞이할 수 밖에 없었던 민건이의 사건을 통해 종합병원 응급실 운영의 문제를 지적하는 ‘그 날, 의사는 없었다’를 방송했다.


2016년 전북대 병원에서 골든타임을 놓쳐 사망한 2세 아이로만 알려져 있는 민건이. 보건복지부는 3개월여 간의 조사 끝에 의료진 개개인의 문제는 아니었다고 결론지었다.

하지만 2년이 지난 지금 ‘PD수첩’은 민건이 및 민건이 할머니의 죽음과 관련한 새로운 사실과 마주하게 되었다. 치료할 의사가 없다는 이유로 방치되어 있었던 민건이. 전북대 병원에서 그날, 과연 의사는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2016년 9월 30일 오후 5시 40분, 2살 민건이와 할머니가 견인차에 치여 전북대학교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아프다는 말을 할 수 있을 만큼 의식이 있었던 민건이. 그러나 수술할 의사가 없다는 이유로 14곳의 병원에 전원을 요청하는 사이 심정지까지 왔다.

관련기사



결국 전북대 병원 도착 후 6시간이 지난 밤 11시 59분에야 심정지 상태로 중증외상전문 병원인 수원의 아주대 권역외상센터로 옮겨진 민건이는 결국 과다 출혈로 숨지고 말았다. 민건이가 방치되어 있었던 그날, 치료해줄 의사는 없었다.

당직 전문의는 응급실에 오지 않았다. ‘PD수첩’이 어렵게 만난 그는 학회 준비를 하고 있었을 뿐, 민건이의 상태를 보고받은 적도 없다고 주장했다. 전북대 병원 역시 정형외과 당직 전문의에게 호출은 없었다고 보건복지부에 허위보고를 한다. 보건복지부 역시 외상외과 전문의만 호출했다는 전북대 병원 측의 주장을 사실 확인도 하지 않은 채 그대로 인정했다.

전북대 병원은 또 ‘수술실 2개가 모두 다 가동 중이어서 민건이와 할머니를 모두 수술할 수는 없었다’고 국정감사에서 밝혔다. 그러나 ‘PD수첩’ 취재결과, 이 역시 거짓말로 드러났다. 전북대 병원 전체 수술실 17개 중 수술이 있었다고 하는 2개는 응급을 요하지 않는 비응급 수술이었다.

전북대 병원 같은 권역별 응급의료센터조차도 병원을 믿고 찾아 온 환자를 자꾸 다른 병원으로 ‘밀어내기’를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민건이 사망사고 이후에도 전혀 변하지 않고 있었다.

/김주원 기자 sestar@sedaily.com

김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