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위아, 첨단 자동화 시스템 선봬

23~26일 창원에서 열리는 ‘한국국제기계박람회’ 참가

현대위아가 23일부터 26일까지 경남 창원시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18 한국국제기계박락회’에 마련한 전시장 /사진제공=현대위아현대위아가 23일부터 26일까지 경남 창원시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18 한국국제기계박락회’에 마련한 전시장 /사진제공=현대위아


현대위아(011210)는 23일부터 26일까지 경상남도 창원시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열리는 ‘2018 한국국제기계박람회’에서 첨단 자동화 시스템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한국국제기계박람회는 경상남도와 창원시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연 2만 명 이상의 관람객이 찾는 국내 대표 기계산업 관련 국제박람회다.

현대위아는 총 180㎡ 규모의 전시공간에 공장 자동화(FA·Factory Automation)라인을 볼 수 있는 ‘자동화ZONE’과 지난해부터 시범 운영 중인 스마트팩토리 통합 플랫폼 ‘iRiS(integrated Revolution of industrial Solution)’를 볼 수 있는 ‘스마트팩토리ZONE’을 선보인다. 자동화ZONE에서는 두 대의 공작기계(KL2300A, KF5600C)와 측정기, 로봇 팔을 이용한 가공 작업을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팩토리ZONE’에서 볼 수 있는 iRiS는 공작기계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HW-MMS’와 스마트 가공용 공작기계 제어프로그램 ‘HYUNDAI-iTROL’, 클라우드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가공 프로그램 생성 시스템 ‘ACAM’ 등을 망라한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이다.


아울러 현대위아는 국내 공작기계 업체 가운데 최초로 구현한 국제표준화기구(ISO)의 ‘디지털 트윈 제조기술’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공개한다. 디지털 트윈 제조기술은 가공 작업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표준화해 생산 효율성을 대폭 끌어 올리는 기술이다. 자동차 부품을 만들기 위해 서로 다른 제조사의 공작기계 5대를 이용할 경우 기존에는 각 공작기계에 맞춘 가공 정보를 입력해야 하지만, 이 기술을 이용하면 하나의 표준화한 공정코드로 모든 장비를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또 가공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디지털 코드로 바꿔 저장한다. 이를 통해 가공 중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코드를 추적해 어떤 기계에서 문제가 생겼는지 곧바로 발견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현대위아의 한 관계자는 “현대위아는 공장자동화와 스마트팩토리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국내외 제조업체의 기술 성장을 이끌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