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친(親)시장 보우소나루 당선에도 브라질 금융시장 요동

헤알화 1.39%↑, 상파울루 증시 지수 2.24%↓

“잊고 있던 외부 악재 반영”

28일(현지시간) 브라질 대선 결선투표에서 차기 대통령에 당선된 극우 성향의 자이르 보우소나루 후보가 리우데자네이루에서 투표를 마친 후 지지자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리우데자네이루=AP연합뉴스28일(현지시간) 브라질 대선 결선투표에서 차기 대통령에 당선된 극우 성향의 자이르 보우소나루 후보가 리우데자네이루에서 투표를 마친 후 지지자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리우데자네이루=AP연합뉴스



브라질 대선에서 금융시장이 선호하는 극우 후보인 자이르 보우소나루가 당선됐지만 환율과 증시는 여전히 요동치며 예상 밖의 반응을 보였다.

29일(현지시간) 미국 달러화 대비 헤알화 환율은 1.39% 오른 달러당 3.705헤알에 마감됐다. 헤알화 가치가 그만큼 떨어졌다는 뜻이다.


이날 환율은 전문가들이 주장하는 적정선을 크게 웃도는 것이다. 유명 민간 연구기관인 제툴리우 바르가스 재단(FGV)은 현재의 브라질 경제 상황에서 이상적인 환율을 3.2∼3.3헤알로 제시했다.



증시도 출렁였다. 상파울루 증시의 보베스파(Bovespa) 지수는 2.24% 떨어진 83,796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광산개발업체 발리(-4.5%), 국영에너지회사 페트로브라스(-4.28%), 민간 은행인 브라데스쿠(-1.88%)와 이타우 우니방쿠(-1.84%), 국영은행인 방쿠 두 브라지우(-1.3%) 등 우량주들이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이 같은 금융시장 흐름에 대해 전문가들은 대선 일정이 마무리되면서 그동안 잊고 있던 외부 악재들이 금융시장에 반영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무역전쟁과 중국 경제의 성장세 둔화,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이탈리아 금융시장 불안, 미국의 금리 인상 등이 헤알화 약세와 보베스파 지수 하락의 배경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3015A12 브라질수정


한편 자이르 보우소나루 정부에서 경제 수장을 맡을 예정인 파울루 게지스가 공공지출 억제 방침을 밝힌 것은 앞으로 금융시장에 우호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관측된다. ‘자유주의 경제’ 철학의 신봉자로 알려진 게지스는 2020년 재정수지 흑자 전환을 목표로 공기업 민영화와 연금·조세제도 개혁, 감세, 정부 소유 부동산 매각, 정치인·공무원 특권 축소, 공무원 감축 등을 강조하고 있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